고려유적(기타) 고려유적(기타) 1.선죽교 개성직할시 선죽동(善竹洞) 자남산 동쪽 기슭의 작은 개울에 있는 고려시대의 돌다리. 옛이름은 선지교(善地橋)라 하였으며, 다리의 동쪽에 한호(韓濩) 글씨의 비(碑)가 있다. 돌기둥과 노면(路面)이 맞닿는 부분에는 시렁돌을 철도의 침목처럼 올렸으며, 돌기둥 .. 개성왕씨 부산파 2019.06.10
고려의 궁터 고려의 궁터 1.고려궁지 (高麗宮址) 강화읍 관청리, 강화산성의 북문으로 가는 도중에 고려 고종19년(1232)부터 원종11년(1270)까지 39년간 몽골의 난을 피하여 머물렀던 고려궁터가 있다. 규모는 작으나 송도의 궁궐과 비슷하게 지었고, 도성(都城)도 지금은 ‘강화읍성’ 으로 불리는 내성만.. 개성왕씨 부산파 2019.06.10
고려의 사찰 고려의 사찰 고려시대에 들어 불교사원은 수도 개경을 중심으로 새롭게 많이 건립되었고, 동시에 지방에도 전국적으로 건립된 사찰이 많다. 특히 지방에 건립된 사찰들은 그 지방의 사회·경제·문화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하나의 도시적인 기능을 담당하였다. 따라서 사찰은 고대 사.. 개성왕씨 부산파 2019.06.10
고려시대의종 고려의 종 신라의 양식을 이은 고려 초의 범종은 호국불교사상과 함께 일반 백성에게까지 널리 확산되어 개인적인 발원을 담은 주조활동도 성행하였다. 그러나 시대가 흐르면서 수법이나 규모에 많은 변화를 보였다. 그 가장 큰 원인은 12세기 몽고의 침입으로, 이전까지 이어오던 신라.. 개성왕씨 부산파 2019.06.10
고려시대의탑 고려시대의 탑 고려시대에는 신라의 불교 문화가 그대로 계승되고, 불교가 국교로 인정되면서 교세도 더욱 확장되어 석탑의 건립도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국가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지방의 호족들과 많은 백성들도 자신들의 염원을 담은 탑을 많이 세우면서 석탑 양식에서 다양한 변화.. 개성왕씨 부산파 2019.06.10
고려인물사 고려인물사 채협공신 체협공신은 공신중의 공신이라 불릴 수 있는 대표적 공신으로서 장기간 책봉되었다. 이들은 고려사 예지(禮志)에 73인이 집중적으로 실렸고, 열전(列傳)에도 대부분 입전(立傳)되었을 정도로 고려시대에 국왕 다음으로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 개성왕씨 부산파 2019.06.10
고려유적지(성곽) 고려유적지(성곽) 1.초진지 1971년 12월 28일에 사적 제225호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4,233m2 이다. 1656년(효종 7) 강화유수 홍중보(洪重普)가 처음 설치하였다. 66년(현종) 병마만호를 두었다가 1763년(영조 39)에 첨사로 승격시켰는데 이 때의 병력은 병마첨절별사(兵馬僉節別使) 1명, 군관 11명, .. 개성왕씨 부산파 2019.06.10
고려유적지 (건축) 부석사무량수전 부석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아미타여래는 끝없는 지혜와 무한한 생명을 지녔으므로 무량수불로도 불리는데 '무량수'라는 말은 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무량수전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건물 가운데 두 번째로 오래된 것이다. 역사적으로는 안동 .. 개성왕씨 부산파 2019.06.10
고려역대왕 고려역대국왕 1)태조 왕건 출생과 성장 아버지는 금성태수 융(隆)이며, 어머니는 한씨(韓氏)이고 성은 왕(王), 이름은 건(建), 자는 약천(若天)으로 송악(개성)에서 출생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후삼국시대에 궁예가 한반도 중부지방을 석권하고, 철원에 도읍을 정하고 그 세력이 송악에까지.. 개성왕씨 부산파 2019.06.10
고려왕실 비운의 역사 강화도 무덤떼서 쏟아진 고려 왕실 비운의 역사 희종 묻힌 석릉 주변 고려 무덤 6기 발굴 13세기 강화천도 전후 여러 묘제들 확인 고려도기와 중국 북송 동전 나와 이미지-1 강화 석릉 주변 고분군 56호 무덤의 세부 발굴 모습. 고려 왕조 21대 임금 희종(재위 1204∼1211)이 묻힌 강화 석릉(국.. 개성왕씨 부산파 2018.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