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덕나무의 수난 예덕 나무의 어린 나무 앙상하게 일부만 남아 있는 예덕나무 예덕나무가 각종 성인병에 특효라는 입소문 때문에 나무를잘라가고 잎을 따가는 고충을 당하고 있다 . 이대로 두다가는 계룡산의 벌나무처럼 멸종 위기에 처할것이다 지금이라도 관계당국과 관심있는 지역민들의 감독이 필요한때다 위궤.. 야생화/5월야생화 2005.05.25
양치식물 고란초과 콩짜개덩굴 2005년5월25일 산태골에서촬영 고란초科의 콩짜개덩굴(Lemmaphyllum microphyllum)은 양치식물門 고사리綱 고사리亞綱 고사리目 고란초科에 속하는 식물로 영양잎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포자낭이 달린 포자잎은긴 선모양에서 도피침형까지 있으며, 위 사진에 나타난 긴 잎 아랫면의 갈색은 포자낭군으로 .. 야생화/5월야생화 2005.05.25
선태류식물 들솔이끼와 우산이끼 들 솔이끼 2005년5월25일 촬영 들솔이끼(잎이넓은 솔이끼종 처음발견 2005년5월25일이기대 산태골에서 잘보존되어 환경오염이 없는곳임) 우산이끼 야생화/원예종과기타 2005.05.25
천손초 다육식물.칼랑코이 천손초(호화접)의 모습 집에서 가꾸고 있어요 했살이 좀적었나 봅니다 천손초: 마다가스카르원산으로 다육식물로 분류하며 돌나물과에 속하는 다육질의 초본성 온실관엽식물이다. 개화는 11~12월에 하며 직사광선 보다는 반그늘 상태에서 잘 자란다. 겨울동안 건조하게 관리하면 .. 환경과정보.기상/사랑과믿음 2005.05.24
박쥐란과 봉의꼬리 돌틈 그늘진곳에 서식하는 난대수종인 풀고사리 봉의꼬리 고구려 벽화의 봉황의 꼬리를 보는것 같다 조경용및 관상용으로 기르고 있다 난대수종 양치식물이라 습하고 그늘진곳을 좋아하는 풀고사리 봉의꼬리 돌틈과 숲가장자리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짧게 자라고 흑갈색 털이 있다. 잎은 .. 야생화/5월야생화 2005.05.22
숲속에 무단경작지 계속 늘어가고 있다 용호동 큰고개 에서 해안가 (밭골새) 50M지점에 수목을 잘라내고 경작하기 시작했다 부산남구청 무단경작지 고발전화번호051-607-4541에 전화 하였으나 조사중이라고 불친절하게 전화를 받는정도 였다 그이후 2005년5월22현재 경작지에는 각종 채소류와 콩과 식물이 자라고 있다 단속의 손길은 여기까지 .. 환경과정보.기상/환경과질서 2005.05.22
제8회 오륙도 사랑걷기 구민대회 개최 앞줄푸른색옻에 흰모자를쓴 전상수 구청장과 좌측 이종철 시의회의원 김신락 의원도 자리하였다 2005년5월21일(토요일) 제8회 오륙도 사랑 구민걷기대회가 성황리에 마쳤다 .용호동 환경시설공단(하수처리장 체육공원) 남부사업소를 출발하여 큰고개에서 식수를 공급받고 해군309전대 앞길을돌아 문서.. 환경과정보.기상/향인과이웃 2005.05.22
자기 배설물을 몸에바르고 살아가는 애벌레 붉나무 잎을 개글스럽게 먹고 배설물을 뒤집어쓰고 눈가림하는 이벌레가 자라고 나면 오배자를 만들어 내는 아주귀한 진디물이 생깁니다 자기 배설물로 위장하는 벌레 (붉나무의 독소와 짠맛을 즐겨먹는)귀한 벌레 6월쯤되면 오배자가 만들어 질것입니다 경희대 김성훈 교수팀 국내 연구진이 오랫동.. 환경과정보.기상/환경과질서 2005.05.22
붉나무(오배자나무) 붉나무 ▶ 급, 만성 대장염, 오랜 기침, 설사를 치료하는 붉나무 붉나무는 가을에 빨갛게 물드는 단풍이 아름다워서 그 이름을 붉나무라고 지었다. 붉나무는 옻나무과에 딸린 잎지는 중간키나무로 단풍잎보다도 더 진한 빨강색으로 물드는 잎이 보기에 매우 아름답다. 가을 단풍이 불에 타는 것처럼 .. 야생화/5월야생화 2005.05.22
감과감꽃 이때쯤이면 감잎차를 만들어야 할때이다 .먹어보지 못한사람들은 감잎차의 향을..... 감꽃의 달디단 맛은 50년대의 어린시절이 눈에 아른거린다. 감은 동아시아 특유의 과수로서 한국 ·중국 ·일본이 원산지다. 중국 최고(最古)의 농업기술서 《제민요술(齊民要術)》에 감나무의 재배에 대한 기록이 .. 야생화/5월야생화 200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