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 백선피에 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 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백선피는 백선의 뿌리 껍질이다. 백양선(白羊蘚), 금작아초(金雀兒草)라고도 한다. 산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백선의 뿌리껍질을 말린것이다. 백선은 늦은봄부터 여름 사이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은 다음 목질부를.. 야생화/6월야생화 2005.06.15
금낭화 중국 원산이며 산지의 돌무덤이나 계곡에 자라지만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높이 40~50cm이다. 전체가 흰빛이 도는 녹색이고 줄기는 연약하며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3개씩 2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쐐기꼴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 야생화/6월야생화 2005.06.15
섬딸기 높이 2 m 내외이다. 가시가 없고 어린 가지는 굵으며 짧고 부드러운 털이 밀생한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상 달걀 모양으로 양면 또는 맥 위에 짧은 털이 있으며 3∼5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밑은 심장저 또는 절저(截底)이다. 꽃은 3∼4월에 1개씩 새가.. 야생화/6월야생화 2005.06.14
메밀 효능과 약용 특히 메밀묵과 닭고기를 맑은 장국에 넣어 끓인 다음 여기에 계란을 풀고 갖은 고명을 얹은 ‘유탕’이라는 요리는 아주 좋은 보신용 전래음식이다.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국수, 묵, 부침개로서 좋은 영양식을 할 수 있는 메밀은 서리가 내리기 전후에 수확한 씨앗을 털어 햇볕에 말린 것.. 야생화/6월야생화 2005.06.14
넓은잎딱총나무 인동과(忍冬科 Caprifoliaceae) 딱총나무속(―屬 Sambucus)에 속하는 20~30종(種)의 관목과 키가 작은 교목. 대부분 양반구의 온대나 아열대 숲이 원산지이다. 이들은 정원용 관목이나 조림용 수종으로 중요하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야생동물의 먹이가 되며 술·젤리·파이·의약품의 원료로 쓰인다. 잎은 겹.. 야생화/6월야생화 2005.06.14
광나무 바닷가 낮은 산기슭에서 자란다. 높이 3∼5m로 가지는 회색이고 피목이 뚜렷하다. 잎은 길이 3∼10cm, 나비 2.5∼4.5cm로 마주나고 가죽처럼 질기며 넓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톱니는 없다. 잎 뒷면에 희미한 잔점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5∼12mm로 붉은빛을 띤 갈색이다. 7.. 야생화/6월야생화 2005.06.14
협죽도 햇볕이 잘 쬐고 습기가 많은 사질토에서 잘 자라지만 아무데서나 자라며 공해에 대해서도 매우 강하다. 높이 2m 이상 자라고 밑에서 가지가 총생하여 포기로 되며 수피는 검은 갈색이고 밋밋하다. 잎은 3개씩 돌려나고 선상 피침형이며 가장가리가 밋밋하다. 질이 두껍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양면에 .. 야생화/6월야생화 2005.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