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성벽 속에서 ‘인간 제물’ 흔적 또 나왔다
경주 왕성인 월성 서성벽에서 인신공희(人身供犧) 추가 사례가 확인됐다. 축조 시기가 4세기 전·중엽~5세기 전후(추정)라는 최초 분석 결과도 나왔다. 구체적인 축성 기술을 두고 진행한 연구 결과도 공개됐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이하 연구소)는 “월성 서성벽 발굴조사를 하며 2017년 발굴한 50대 남녀 인골(2구, 기저부 조성층과 성벽 체성부 사이)에서 북동쪽으로 약 50㎝ 떨어진 곳에서 성인 여성 인골과 동물뼈 등을 추가로 확인했다”고 7일 발표했다. 여성 인골의 키는 약 135㎝ 전후로 곡옥 모양의 유리구슬을 엮은 목걸이, 팔찌를 착용했다. 연구소는 목제 덮개와 착장 유물 등이 인신공희의 세부 정황이라고 했다. 연구소는 총 3구의 인골의 에나멜(법랑질) 질감 형성 정도를 봤을 때 영양 상태가 좋지 않고, 고급 유물이 없는 점을 볼 때 낮은 신분인 것으로 추정했다.
(이미지-01)
경주 왕성인 월성 서성벽 발굴 조사 과정에서 추가로 발굴된 여성 인골. 얼굴 주변에 목에 거는 장식품인 경식(頸飾)과 아래팔 뼈에 팔찌가 보인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연구소는 해방 이후 첫 발굴조사한 1979년 이후 논쟁이 끊이지 않은 월성(경주시 인왕동 387-1번지 일원, 21만2194㎡) 축조 시기를 두고 “문헌 기록과 약 250년 차이 나는 4세기 중엽부터 쌓기 시작해 5세기 초에 이르러 완공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삼국사기>, <삼국유사>에는 파사왕 22년(101년)에 월성을 축조하고, 290년 홍수가 나서 무너졌다는 기록이 나온다. 연구소는 “(삼국사기 등의) 축성 기록 시기는 실제 축조 연대보다 많이 앞당겨졌다. 출토 유물의 전수 조사와 함께 40여 점을 두고 가속질량분석기(AMS, Accelerator Mass Spectrometer·목재, 유기물질 등의 탄소를 측정해 과거 연대를 검출하는 방법)로 연대 분석해 축조 개시 시점은 4세기 전·중엽, 완공 시점은 4세기 중엽~5세기 초라는 결과를 확인했다”다고 한다. ‘기저부 조성→중심 토루(土壘)→4차례 성벽 성토’ 등 축성 소요 기간은 50~70년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연구소는 2017년 인신공희 사례 발견 이후 월성 성벽의 토목 기술과 축조 시기를 추가 조사해왔다.
(이미지-02)
월성 서성벽의 인신공희 지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이미지-03)
월성 서성벽 발굴 조사. 국립경재문화재연구소 제공
주보돈 경북대 사학과 명예교수는 “(축성을 시작한 시기를) 4세기 중엽이라고 한다면 사로국 주변 지역을 병합해 신라 국가가 탄생하는 시기였다. 왕호를 마립간이라 하고, 적석목곽분이 경주 분지에 축조되는 시기와 맞물렸다. 초기의 신라 국가사 이해에 많은 도움을 주리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월성 서성벽은 ‘사람을 제물로 바쳐 제사를 지낸 의식’인 인신공희 사례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발견된 곳이다. 2017년 50대 남녀 인골 2구가 나왔다. 1985·1990년 시굴·발굴 조사 때 인신공희 지점에서 북서쪽으로 약 10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출처 불명의 인골 23구가 출토됐다. 23구의 인골을 두고 연구소는 “성벽 축조 과정과 관련해 묻힌 것이다. 23구 출토 지점에서 동물뼈, 골각기(骨角器) 등을 확인했다”고 했다. 23구 중 1·4호 인골은 정연한 안치 형태, 공헌 유물의 존재, 목제 덮개의 존재(추정)로 볼 때 인신공희로 추정된다고 했다. 23구는 연령대도 다양하다고 한다. 연구소는 “(서성벽 인골 3구의) 인신공희는 기초부 공사를 끝내고 성벽을 거대하게 쌓아 올리기 전 성벽과 문지(門址)가 견고하게 축조되길 바라는 차원에서 실시됐다”고 했다.
(이미지-0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직원들이 추가로 발굴한 여성 인골의 경화 처리 작업을 하고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이성주 경북대 고고인류학과 교수는 “중국 주나라(기원전 1046년~기원전 256년) 때 의례 혁명이 있은 이후로 인신공희 같은 것들은 원시적인 예습이라고 폐기한다. 1000여년 뒤에 신라 경주 한복판에서 이런 의례가 행해졌다는 게 대단히 흥미로운데, 초기 국가 형성기 대중들을 장악하고, 국가에 대한 통제력을 높이는 권력 장악 측면에서 우리가 (기원전 1600년~기원전 1046년 존재하며 인신공희를 실행한 중국 상나라와)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고 했다.
(이미지-05)
2017년과 2021년 인신공희 인골 발굴 지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서성벽 인신공희 지점엔 말, 소 등 대형 포유류로 추정되는 동물뼈가 나왔다. 연구소는 “늑골 부위 위주로 선별해 제물로 바쳤다. 인신 희생, 동물 훼기, 토기 매납이 세트로 이뤄졌다”고 했다. 성벽 의례용 동물 훼기(毁棄)나 음용 전용 토기 부장(副葬)은 국내 유일 사례다.
이미지-06)
월성 성벽 축조 공정. 국립경재문화재연구소 제공
연구소는 이날 축성 기술 연구 결과도 발표했다. 기초부 공사 때는 일정 간격으로 나무 말목을 박은 지정(地釘) 공법과 목재나 식물류를 층층이 쌓는 부엽(敷葉) 공법으로 보강했다고 한다. 월성 지반이 지하수 용출이나 습지에 영향을 받아 연약했기 때문이다. 지정공법과 부엽공법은 성벽 기초부를 견고하게 다져 올리는 작업으로 거대한 구조물을 만들 때 주로 사용한다. 신라 토성에서 사용된 가장 이른 시기의 사례가 월성이다. 심광주 토지주택박물관 관장은 “고구려, 백제, 신라 중에서 신라가 가장 견고하고 높은 성을 쌓았다. 삼국통일의 근원적인 힘은 성곽에서 찾을 수 있다. 월성 발굴은 신라 토목 기술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아주 중요한 유적”이라고 말했다.
기초부 공사 종료 뒤 성벽 몸체를 만드는 체성부 공사에서는 볏짚·점토 덩어리·건물 벽체 등을 다양한 성벽 재료로 사용했다. 높고 거대하게 만드는 토목 기술을 확인했다. 월성 성벽은 너비 약 40m, 높이 10m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이미지-07)
월성과 주변 일대 발굴 조사 현황.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월성은 일제강점기인 1915년 첫 발굴조사에 들어갔다. 해방 이후인 1979~80년 월성 동문지를 발굴조사하고, 1984~85년 월성 해자를 시굴조사했다. 1985~2014년 : 월성 해자·계림 북편, 첨성대 남편, 월성 북서편 건물지를 조사했다. 2014년 A지구 성벽, C지구 중앙건물지군, 해자 발굴 조사에 들어갔다. 2016년 C지구에서 통일신라시대 문서행정 관청터를 확인하고, 벼루 유물도 출토했다. 인신공희 인골 2구가 발견된 해와 장소는 2017년 A지구 서성벽이다. 2019년엔 해자지구 1-1호에서 수혈 해자 범위와 삼국시대 최대 규모 판자벽 시설을 확인했다. 2021년 9월 기준 A지구 서성벽·남성벽 조사를 진행중이다. 해자지구 계림~월성 진입로 조사는 완료했다.
인간 제물’ 위로 쌓은 신라의 권력
등록 :2021-09-15 05:00수정 :2021-09-15 09:13노형석 기자 사진
경주 월성 인신공희 흔적의 비밀
(인신공희-01)
지난 7일 경주 월성 서성벽 발굴 현장에서 장기명 학예연구사가 인골이 나온 기저부 조성층 위의 출토 지점을 가리키고 있다. 부엽 공법 등을 써서 태운 볏짚들을 올린 까닭에 거멓게 변색된 기저층 위에 2017년과 올해 발굴된 남녀 인골과 여성 인골을 프린트한 대형 종이 표시가 보인다. 출토 지점 위쪽에는 길쭉한 큰 돌을 잇따라 놓고 그 위에 돌들을 쌓아올린 성벽의 중심골조 부분, 그 옆으로 흙을 덧쌓아 성벽의 너비를 넓힌 성토 흔적이 나타난다.
“1500년 전 참수된 백제 성왕의 죽음이 불현듯 떠올랐습니다.”
지난 7일 낮 신라 천년 왕성인 경주 월성의 발굴 현장을 돌아보며 조사단 총책임자인 김성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은 이런 소회를 털어놓았다. 연구소는 이날 놀라운 뉴스를 발표한 참이었다. 월성 서성벽과 성벽에 연결된 옛 서문터 부근의 단면을 발굴조사하다 내부 바닥층에서 2017년에 이어 또다시 인골이 나왔으며, 성벽을 쌓을 때 사람 제물을 바친 신라인들의 인신공희 희생자로 판명됐다는 내용이었다. 김 소장은 이 소식을 들으며 월성 건물터 어딘가에 묻혔을지 모를 성왕의 머리를 생각했다고 했다.
(인신공희-02)
최근 경주 월성 서성벽 기저층에서 인신공희의 제물로 발견된 20대 여성의 인골.
월성 성벽에서 나온 인골과 백제 성왕의 머리는 대체 어떤 연관이 있을까? <삼국사기>에는 554년 신라군이 점령한 관산성(충북 옥천)을 태자 창(위덕왕)이 치러 갔다가 고립됐다는 소식을 듣고 성왕이 구원하러 정예군을 끌고 갔다가 매복한 신라군에 잡혀 살해당한 기록만 전한다. 하지만 역사왜곡 논란에 휩싸인 <일본서기> ‘흠명기’조에는 상세한 후일담이 나온다. 고도라는 신라 노비가 포로인 성왕의 목을 베어 구덩이에 파묻었다고 전하는 한편으로, 다른 책 기록에 주검의 몸은 백제에 돌려보냈으나 머리는 경주 월성 북청 계단 아래 묻었고, 왕이 신하들과 정사를 논의하던 그 관청을 일컬어 도당이라 부른다는 내용이 있다고 명기한 것이다. 성왕의 참수로 신라와 백제는 철천지원수 사이가 된다. 그 배경엔 <일본서기> 내용대로 왕의 머리를 월성 관청 지하에 묻고 밟고 다니게 한 굴욕도 작용하지 않았을까? 하지만 이런 매장의 의미가 마냥 간단치 않은 의식적·종교적 의미를 품고 있다는 것을 발굴 결과는 일러준다.
(인신공희-03)
2017년 월성 서성벽 아래 기저층에서 발견된 50대 남녀의 인골. 두 사람의 인골에서 북동쪽으로 약 50㎝ 떨어진 지점에서 최근 20대 여성의 인골이 출토됐다. 모두 성벽의 안전을 기원하는 인신공희의 희생자들로 판명됐다.
성벽 안 인골이 연속 출토된 데 대해 국내 학계는 신라인들의 종교적 의식 세계와 권력자들의 사고방식 일단이 드러난 것이란 해석을 내놓고 있다. 문터와 건물, 토목구조물 아래 생명을 희생시킨 인간 제물을 놓아 땅 신에게 건조물의 안전과 번영을 비는 것은 고대 인류사에서 널리 퍼진 습속이었다. 성벽, 특히 성벽의 문터 앞에서 인간을 희생물로 삼아 제례를 지내는 것은 유럽의 고대 켈트족 사회나 중국의 선사시기인 룽산(용산)문화, 상나라 때 성행했다. 2017년 월성 서성벽 단면을 발굴하면서 그 속에서 50대 남녀 인골이 나오자 인신공희의 흔적일 것이라는 추정이 제기됐지만, 무덤이나 집단 살해의 흔적일 것이란 반론도 있었다. 그러나 추가 발굴 결과 장신구를 착장한 여성의 인골과 술을 따른 듯한 제례용 토기, 늑골 부분만 자른 각종 동물 뼈까지 나오면서 인신공희는 사실로 굳어져가는 분위기다. 무덤 특유의 시설이 없고 인골들이 일정한 방향축을 형성하면서 놓여 있다는 점도 그렇다. 더욱이 1985년 서문터 북쪽을 당시 경주고적발굴조사단이 시굴한 결과 3구의 인골을 확인했고, 90년에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무려 23구의 인골을 발굴한 사실도 재조명되면서 인신공희 흔적임이 뚜렷해졌다.
(인신공희-04)
1985년 경주고적발굴조사단이 월성 서성벽 서문지 앞을 시굴조사하다 출토된 인골. 2017년과 올해 서성벽에서 나온 인골과 출토 지점이 지척이다.
재밌는 건 이런 습속이 기원후 국가체제가 등장하면서 사라졌는데 유독 신라만 1천여년 시차를 두고 나타났다는 점이다. 왜 이런 지체 현상이 나타난 걸까? 연구자들은 분명한 대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인골의 희생 의식에 대해 좀 더 가지를 쳐 해석해보면 당혹스러운 실상도 떠올리게 된다. 1700년 전 신라의 천년 왕도 서라벌(경주)의 월성 성벽 앞에서 성스러운 제전을 내세운 죽음의 이벤트가 벌어졌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신라의 제왕과 성골·진골 왕족들은 4세기 초중엽 자신들의 거처인 도읍 경주의 월성을 둘러싼 거대 성벽을 쌓으면서 성문 앞 너른 문터에서 평민과 노비들을 희생시켜 성벽이 들어설 자리 위에 제물로 바치는 제사를 백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치렀다. 인신공희는 권력을 치장하고 과시하기 위해 기획한 제전 성격이었던 것이다. 지금은 섬뜩한 참극으로 비치겠지만, 당시엔 신성한 국가 행사로 간주됐고, 희생자들 또한 영광으로 여겼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연구소나 학계의 추정이다. 발굴된 인골 어디에도 저항의 흔적이 없고, 목걸이로 장식되고, 짚과 목재덮개 등으로 덮은 의식의 흔적이 확인된다는 점이 근거다.
(인신공희-05)
지난 7일 월성 서성벽 서문 추정터의 발굴 현장을 찍은 사진. 부엽 공법 등을 써서 태운 볏짚층 때문에 거멓게 변색된 기저층 위에 2017년과 올해 발굴된 남녀 인골과 여성 인골의 프린트 종이들이 각각 놓여 있다. 출토 지점 위쪽에는 길쭉한 큰 돌을 잇따라 놓고 그 위에 돌들을 쌓아올린 성벽의 중심골조 부분이 보인다. 중심골조 옆으로는 흙을 덧쌓아 성벽의 너비를 넓힌 성토 흔적이 드러나 있다.
서성벽 단면 발굴 현장에는 부엽 공법 등을 써서 태운 볏짚층 때문에 거멓게 변색된 성 기저층 바닥에 2017년과 올해 발굴된 남녀 인골과 여성 인골의 프린트 종이들이 각각 놓여 있었다. 출토 지점 위쪽에는 길쭉한 큰 돌을 잇따라 놓고 그 위에 돌들을 쌓아올린 성벽의 중심골조 부분이 보였고, 중심골조 옆으로는 흙을 덧쌓아 성벽의 너비를 넓힌 성토 흔적이 드러났다. 백제 풍납토성과 비견되는 높이 10m 이상, 너비 40m 이상의 웅장한 성벽과 그 안에 깔린 인골들의 자취를 보면서 당시 마립간이란 왕호를 쓰면서 국력이 뻗어나가던 신라인들의 옹골찬 힘과 신비로운 내면 세계가 느껴지는 듯했다.
경주/글·사진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그룹명 > 나의포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궤도 우주관광팀 귀환 (0) | 2021.09.19 |
---|---|
우리는 언제까지 지상에 환생해야 하나. (0) | 2021.09.16 |
가족 순장 1500년전 고인골 DNA (0) | 2021.09.06 |
양서류 무족영원 (0) | 2021.08.01 |
2400년 전 제물로 바쳐진 이 남자의 마지막 식단 은? (0) | 2021.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