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나의포토이야기

남구의국보

아지빠 2013. 3. 16. 09:33

 

1.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종 류 : 국보 200호 (1979. 4. 30)

시 대 : 통일실라시대 (8세기 후반)

소재지 : 부산직할시 시립박물관

 

이 보살상은 보관, 대좌, 광배가 유실되고 천의의 일부가 결손 되었으나, 8세기 후반의 전형적인 양식 갖춘 금동보살상이다.

정면을 바라보며 가슴을 펴고 당당한 자세로 꼿꼿이 선 보살상으로, 높이가 34cm나 되는 비교적 큰 불상이다.

체구는 다소 뻣뻣한 느낌이 없지 아니하나 떡 벌어진 어깨와, 풍만한 가슴에서 허리로 이어지는 곡선은 한결 부드럽고 탄력성과 중량감이 넘치고 있다.

얼굴은 원만한데 아래턱은 살이 올라 풍만하고, 치켜 올라간 가는 눈과 오뚝한 콧날, 작은 입 등 그 표정은 단엄하고 자신만만해 보인다. 그러면서도 입가에는 잔잔한 미소가 서려있어 보살의 자비로움을 느끼게 한다.

굵은 목에는 삼도가 두툼하게 새겨져서 힘찬 느낌은 주는 듯하다.

보발은 이마에서 곱게 갈라 빗어 정수리까지 높이 틀어 올려서 마치 구름을 휘감은 듯한 보계가 우뚝 솟아 있다.

오른팔은 구부려 옆 가슴에 대고 엄지와 검지를 꼬부렸고, 왼팔은 자연스럽게 아래로 뻗어 손으로 무엇을 잡으려는 듯이 엄지와 검지를 살짝 꼬부렸다. 양팔의 상박부와 팔목에 팔찌를 끼웠는데, 상박부의 염천은 보주를 장식한 굵은 것이고 팔목에는 쌍가락지형의 가는 것을 끼웠다.

이 두 쌍의 팔찌가 유일한 장식구로서 그 밖에 아무런 장식도 하지 않은 것이 이 불상의 특징의 하나이다.

상반신에는, 소위 보살의 옷이라고 하는 천의를 양어깨에 걸쳤을 뿐이고 하반신에는 엷은 군의를 입었는데 그 윗부분을 접어서 허리에 동여맸다. 군의의 옷자락은 좌우 두 갈래로 “U”자형의 다섯줄을 옷 주름을 잡은 다음 흐르듯이 아래로 드리워졌다가 끝에 가서 다시 한번 U자형의 옷 주름을 반복하면서 발목을 덮었다.

양어깨에 걸친 띠 모양의 천의는 겨드랑이를 살짝 가린 다음 몸의 양쪽으로 율동적인 굴곡을 그리면서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발끝에 가서는 미묘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왼쪽 천의의 중간부분과 끝부분이 약간 결손 되었으나, 큰 흠이 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하반신의 아름다운 옷 주름과 천의의 율동적인 곡선은, 이 불상이 마치 장부와 같이 당당하고 엄숙한 분위기를 한결 부드럽게 조화시켜서 보살의 성스러운 정신을 조형화하는데 큰 구실을 하고 있는 듯 하다.

총체적으로 본다면 서로가 원만하고 거체의 조형이 사실에 충실한 편이며, 균형과 입체감도 충분하여 보살의 위엄과 자비로움을 아울러 갖춘 불상이다. 통일신라시대 장인의 기상과 원숙한 조형기법으로 조성된 뛰어난 작품이라 하겠다.

이 보살상은 청동을 재료로 주조한 것으로 불상의 내부는 공동이고, 후면 세 군데에 주물공이 있으며, 중앙부에 광배를 고정시키기 위한 큰 촉이 마련되어있다. 도금은 거의 완전하여 아직도 금색이 찬연하다

 

 

 

2. 전산청석남암사지납석제호(蠟石製壺)

 

종 류 : 국보 233호(1986. 10. 15)

시 대 : 신라 (766년)

소재지 : 부산직할시 시립박물관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내원리 보선암 폐사지의 석불대좌 중대석에서 발견된 곱돌 항아리이다.

그릇은 거무스레한 갈색곱돌을 물레로 깎아 만든 것으로 그릇의 안팎에 칼자국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별다른 장식은 없으나 어깨에 한 줄 아랫배에 두 줄의 쌍선을 음각하였다.

뚜껑의 상면에도 두 줄의 동심원을 음각하고 그 안에 세 겹의 간결한 연화문을 새겼는데 이것이 유일한 장식이다.

전체 높이 14.5cm, 입지름 9cm, 몸통지름 12.3cm, 밑지름 8.4cm, 항아리 높이 (뚜껑제외)는 12.2cm이다. 이 그릇의 몸통에는 한 줄에 8~11자 15줄 136자의 비로자나불상조상기(毘盧遮那佛像造像記)가 새겨져 있고 그릇의 밑바닥에도 4줄 22자의 글자가 초서로 음각되어 있다.

이 명문은 고식의 이두문으로 고졸한 문투가 곳곳에 보이고 약자 성획자(省劃字), 이자(異字)들이 섞여서 읽기가 쉽지 않으나,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해석된다.

「영태 2년 7월 2일 석 법승, 법연 2승이 돌아가신 두온애랑(豆溫哀郞)을 위하여 석조비로자나불상을 조성하여 무구정광다라니(無垢淨光羅尼)와 아울러 석남사 관음암에 봉안하나이다. 바라옵컨대 두온애랑의 영신이나, 2승이나, 정례하거나, 수희(隨喜)하는 일체중생의 삼악도의 업보가 없어지기를 비로나자나불에 비나이다.」 즉 죽은 사람의 혼령을 위로하고 불상을 조성하는 공양승과 불법에 귀의하는 중생들의 업멸을 비는 일종의 서원문형식이다. 밑바닥은 명문은 송곳 같은 것으로 새긴 흘림글씨가 되어서 첫줄 「內物是在之」이하는 거의 판독할 수가 없다.

이 납석호는 1981년 부산시립박물관이 우연한 기회에 입수 수장하게 된 것인데, 그 뒤로 박물관 측의 꾸준한 추적조사에 의하여 이것이 출토된 석불대좌의 원소재지와 이 납석호를 발견 채취한 사람을 찾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