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6월야생화

양귀비

아지빠 2007. 6. 4. 09:32

 

 

 

 

 

 

 

 

1)양귀비과

앵속·약담배·아편꽃이라고도 한다. 지중해 연안 또는 소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줄기는 털이 없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가 50∼15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3∼20cm의 긴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줄기를 반정도 감싸며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흰색·붉은 색·자주색 등 여러 가지 빛깔로 피고 줄기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리며, 꽃봉오리 때는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조각은 2개이고 타원형의 배 모양이며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4개이고 둥글며 길이가 5∼7cm이고 2개씩 마주달린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다. 암술머리는 방사상으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고 길이 4∼6cm의 둥근 달걀 모양이며 다 익으면 윗부분의 구멍에서 종자가 나온다. 아시아 열대·온대 지방과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익지 않은 열매에 상처를 내어 받은 유즙을 60℃ 이하의 온도로 건조한 것이 아편이다. 성분으로는 모르핀·파파베린·코데인 등의 알칼로이드 성분과, 납·수지·타닌·단백질 색소 등이 들어 있다. 중추신경 계통에 작용하여 진통·진정·지사 효과를 내므로 복통·기관지염·불면·만성 장염 등에 복용한다.

민간에서는 열매와 식물체를 분리해 두었다가 응급 질환에 사용했다. 아편을 담배와 함께 피면 마취 상태에 빠져 몽롱함을 느끼고 습관성이 되면 중독 현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종자는 45∼50%의 지방이 들어 있어 식용 또는 공업용으로 사용하며 마취 성분이 없다.

양귀비는 당나라 현종의 황후이며 최고의 미인이었던 양귀비에 비길 만큼 꽃이 아름답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그리스 신화에는 곡물과 대지의 여신인 데메테르(Demeter)가 저승의 지배자인 하데스(Hades)한테 빼앗긴 딸 페르세포네(Persephone)를 찾아 헤매다가 이 꽃을 꺾어서 스스로 위안을 찾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아편을 합법적으로 생산하는 나라는
불가리아·그리스·인도·일본·파키스탄·터키·러시아·유고 등이며, 한국에서는 법으로 재배가 금지되어 있다.

 

 

2)전설

옛날 인도의 한 궁전에는 넓고 훌륭한 정원이 있었습니다. 그곳의 왕자는 여느 날처럼 정원을 거닐다 발목에 금실이 매여진 예쁜 새 한 마리를 발견했습니다.

"이 새의 발에 금실이 매여져 있는 것을 보니 어느 궁정에서 날아온 것 같군." 왕자는 아름다운 이 새가 마음에 들어 무척이나 아끼고 사랑했습니다. 그런데 그 새는 좀처럼 우는 일이 없는 이상한 새였습니다.

어느 날 밤 왕자는 깊이 잠들어 있었습니다. 왕자는 꿈 속에서 아름다운 아가씨를 만났습니다. 그 아가씨는 아라후라 나라의 공주였습니다. 공주는 왕자에게 다소곳이 말했습니다.

"왕자님, 저는 저의 새를 찾으러 왔습니다. 그 새는 제가 묶어 놓은 금실을 끊고 달아나 버렸습니다. "좋소. 내 정원으로 가서 찾아보시오. 그런데 공주의 이름은 무엇이오?" "제 이름은 제가 잃어버린 새의 이름과 똑같습니다." "그럼 새의 이름은 무엇이오?" "그것은 가르쳐 드릴 수가 없습니다. 그 새의 이름은 저의 이름과 똑같고 그 새만이 저의 이름을 알고 있습니다." 공주는 말을 이었습니다. "그 새의 노래 소리가 바로 제 이름입니다. 이름을 가르쳐 드릴 수 없는 것은, 제 이름을 아는 사람은 저와 결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왕자는 뭐가 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왕자님, 그 새는 제 앞에서만 자기가 부르던 노래를 생각해 냅니다. 그 새는 한 가지 꽃만을 좋아하는데 그 꽃 이름은 저의 이름과 같답니다. " 공주는 말을 마치더니 왕자의 정원을 이곳 저곳 돌아다니며 새를 찾았습니다. 그러나 새를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공주가 실망하여 돌아가려고 할 때 왕자는 공주를 붙잡았습니다. "공주, 그렇다면 꽃의 이름이 무엇이오?" "왕자님. 그 꽃 이름은 바로 제 이름이기 때문에 가르쳐 드릴 수가 없습니다. 제가 잃어버린 새는 그 꽃을 보기만 하면 노래를 부르는데 그 노랫소리가 바로 제 이름이랍니다." 공주는 왕자가 잡은 손을 뿌리치고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습니다.

왕자는 문득 잠에서 깨어났습니다. 정말로 이상한 꿈이었습니다. 왕자의 눈에는 꿈에 본 공주의 모습이 아른거렸습니다. 그 꽃을 찾기만 하면 공주와 결혼할 수 있는 것입니다. 왕자는 날이 밝기를 기다려 아라후라 성으로 떠났습니다. 파수병으로 변장한 왕자는 성안을 돌아다니다가 여태껏 본 적이 없는 황홀한 꽃을 발견했습니다.

왕자는 뛸 듯이 기뻐하며 꽃을 들고 자기가 사는 궁전으로 돌아왔습니다. 새는 그 꽃을 보자마자 울기 시작했습니다. "파파벨라! 파파벨라!" 공주와 꽃과 새의 이름은 모두 파파벨라였던 것입니다. 그 후 왕자는 파파벨라 공주와 결혼하여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인도의 국화이기도 한 이 '파파벨라 꽃은 ´양귀비´라고도 합니다.

꽃말: 위안, 잠(백색)

 

 

3)

양귀비는 북반구의 온대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그 종류도 거의 100종류 이상은 있다고 한다. 관상용으로서는 1.2년생, 숙근초 취급을 하는 외에 일부 약용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법률로 재배를 금지하고 있는 파파벨, 솜니페람이라고 하는 종류의 아헨양귀비와 목단 양귀비 등도 있다. 보통 가정 원예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선택해서 가꾸기를 권유 한다.

♠ 장염에는 양귀비 온포기 1 ~ 1.5g을 1회분으로 달여서 하루 2 ~ 3회 복용한다

'야생화 > 6월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첩빈도리  (0) 2007.06.06
섬초롱꽃  (0) 2007.06.05
수국  (0) 2007.06.04
털부처꽃  (0) 2007.06.03
초롱꽃  (0) 2007.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