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느삼 개느삼 쌍떡잎식물.장미목.콩과.개느삼속 우리나라 특산으로 강원도의 휴전선 근처에 분포하며 낙엽활엽관목으로 높이 1m정도로서 여러 포기가 모여 자라는 특성이 있다. 원래의 자라는 지역은 북한이며 추위에 강하다. 줄기는 곧 바르게 자라며 가지는 털이 있고 암갈색이다. 겨울눈은 .. 야생화/4월야생화 2014.04.07
골담초 골담초 쌍떡잎식물.장미목.콩과.골담초속 골담초(骨擔草)는 뼈를 책임지는 풀이란 의미가 있으며 실제로 뿌리를 한약제로 쓰고 있다. 노랗게 피는 꽃을 따서 쌀가루에 섞어 시루떡을 쪄 먹기도 한다. 경북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을 오른 쪽으로 돌아 5분쯤 올라가면 고려 우왕 3년(1377)에.. 야생화/4월야생화 2014.04.07
꽃마리 꽃마리 쌍떡잎식물.통화식물목.지치과의세해살이풀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한방에서 수족의 근육 마비·야뇨증·대장염·이질·종기 등에 약으로 쓴다 야생화/4월야생화 2014.04.07
줄딸기 줄딸기 쌍떡잎식물.장미목.장미과 덩굴식물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우상복엽으로 소엽은 달걀모양 또는 달걀모양의 피침형이다. 잎 밑은 둥글거나 심장형이며 잎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는 이중톱니가 있다. 꽃은 4월~5월에 1개씩 새 가지 끝에 연분홍색으로 피고 열매는 거의 둥글며.. 야생화/4월야생화 2014.04.07
홍요목(붉은예덕나무) 홍요목(붉은예덕나무) 쌍떡잎식물.쥐손이풀목.대극과.예덕나무속 낙엽활엽소교목 진통과 염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으며 항궤양작용을 한다. 적용질환으로는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염, 소장염, 대장염, 담석증 등이다. 야생화/4월야생화 2014.04.06
자주잎매자나무 자주잎매자나무 쌍떡잎식물.미나리아재비목.매자나무과.매자나무속. 여러 개의 줄기가 올라와 집단으로 자라며 새 가지에는 마디마디 예리한 가시가 1~3개가 나며 나무껍질은 적갈색이다. 잎은 가시가 나는 곳에 3~5개가 모여 나고 바늘모양의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잎의 뒷면은 주름.. 야생화/4월야생화 2014.04.06
황매화 황매화 쌍떡잎식물.장미목.장미과 낙엽관목 꽃잎은 시계방향으로 물래 꽃과 같다 고율시(古律詩)에는 지당화(地棠花)를 노래한 시가 있는데, 꽃의 특징은 짙은 황색이고 여름철에 핀다고 하여 황매화임을 알 수 있다. 또 체당(棣棠)이란 꽃의 설명를 보면 ‘총생(叢生)하고 음력 3월에.. 야생화/4월야생화 2014.04.06
자주꽃으름덩굴 자주꽃으름덩굴 쌍떡잎식물.미나리아재비목.으름덩굴과. 으름속 낙엽활엽수 열매의 모양이 어릴 때는 남성을 상징하고 익어서 벌어졌을 때는 여성의 치부를 닮아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보면 경기 지방의 특산 약제를 소개하는 내용 중에 으름덩굴은 목통(木通)이라 하고 익은 으름열.. 야생화/4월야생화 2014.04.05
민들레 민들레 쌍떡잎식물.초롱꽃목,국화과 여러해 살이풀 항바이러스 작용, 항생 물질 작용, 급만성 기관지염, 폐렴, 비뇨계통 감염, 전염성 간염, 림프절염, 급성 유선염, 급성 췌장염, 단독, 충수염, 담낭염, 맥관염, 급성 화농성 편도선염, 인후염, 중이염, 급만성 부비강염, 급성 이곽연골막염.. 야생화/4월야생화 2014.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