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왕씨 부산파

고려사 국보,보물로지정

아지빠 2020. 12. 23. 17:48

고려사 는 왜 그간 국보·보물로 지정되지 않았을까?

23일 고려시대 역사서로는 첫 보물지정 예고

(이미지-01)

보물지정이 예고된 서울대 규장각 소장 <고려사>목판본. 태백산사고에 보관되어 있던 희귀본이다.

역사상 가장 뛰어난 통치자로 꼽히는 조선 4대 임금 세종대왕(재위 1418~1450). 그의 대표적 업적이 1446년 집현전 학사들과 함께 만든 ‘훈민정음’(한글) 창제라는 사실을 모르는 이는 없다.

하지만 32년 재위 기간 내내 세종이 가장 고심하며 추진한 과업이 따로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선대 왕조인 고려의 전체 역사를 다룬 139권의 정사 <고려사>의 편찬이다. 즉위 원년인 1419년에 개국공신 정도전이 완성한 <고려국사>(1395)를 고치라고 명한 것을 시작으로, 1449년 김종서·정인지 등에게 최종본 편찬을 하명하기까지 4차례나 편찬을 거듭할 만큼 세종은 <고려사> 발간에 공력을 쏟았다. 그때까지 남아있던 고려왕실의 실록과 당대 문집, 기록물을 모아 객관적으로 집대성하는 거대한 기록화 사업에 몰두했다.

(이미지-02)

규장각 소장 <고려사>을해자 본. 1455년(세조 1년)에 처음 만들어진 금속활자 을해자로 찍은 것이다. 현재 전하는 <고려사>의 가장 오래된 판본으로 꼽힌다. ‘세가’ 부분으로 충렬왕의 치세를 다룬 대목이다.

결국 <고려사>는 세종이 세상을 떠나고 1년 뒤인 1451년(문종 원년)에 완성된다. 역대 임금의 사적을 담은 ‘세가(世家)’ 46권과 주요 인물의 행적을 담은 ‘열전(列傳)’ 50권, 경제·사회·문화 등의 기록인 ‘지(志)’ 39권, ‘연표(年表)’ 2권, ‘목록(目錄)’ 2권으로 이뤄진, 당대 가장 방대한 ‘기전체’ 역사책이 등장한 것이다. 후삼국 통일 뒤 중국과 견주는 천하의 중심을 표방했던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오늘날 상세히 알 수 있게 된 건 순전히 <고려사> 덕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종은 황제의 뜻을 내포한 ‘종(宗)’과 ‘祖(조)’란 제왕의 묘호를 쓰며 의식과 외교 등에서 황제국의 면모를 보였던 고려의 선례를 밝히면서, 조선 또한 임금의 ‘종(宗)’ ‘祖(조)’ 묘호를 계승해 고려 못지않은 품격의 나라임을 드러내려 했다. 이런 집요한 의지가 사대주의를 앞세운 신하들의 극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고려의 역사를 정사로 풀어낸 끌차가 됐다.

세종의 숨은 통찰과 고뇌가 담긴 <고려사>가 국가지정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고려사> 일부 전래본 6건에 대해 23일 처음으로 보물지정을 예고했다. 지정 대상은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한 15세기 금속활자 을해자본 2건과 목판 완질본 2건, 동아대 석당박물관 소장 목판본 1건, 연세대 도서관 소장 목판본 1건이다. 규장각 소장 을해자본은 을해년인 1455년(세조 1년) 만든 금속활자로 찍은 것으로, 현전하는 <고려사> 판본 가운데 가장 오래됐다. <고려사>는 1454년(단종 2년) 처음 찍어 반포됐다고 전하지만, 당시 간행본은 남아있지 않다. 문화재청 쪽은 “<삼국사기> <삼국유사> <조선왕조실록> 등 중요 문헌들이 최근 모두 국보나 보물로 지정된 상황에서 <고려사> 역시 국가지정문화재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새롭게 학술 가치를 검토한 결과”라고 밝혔다.

(이미지-03)

동아대 석당박물관 소장 <고려사> 목판본. 1613년(광해군 5년) 을해자 본을 본떠 만든 목판으로 찍어 널리 보급했던 사서다. 부산광역시유형문화재로 현재 <고려사>판본중 유일한 지정문화유산이다.

의문도 생긴다. <고려사>는 12세기 나온 <삼국사기>와 함께 우리 민족사에서 2대 정사로 일컬어지는데, 왜 지금까지 단 한 개의 판본도 국보, 보물지정이 되지 않았을까.

1613년 광해군 때 찍은 부산 동아대 소장 목판본만 부산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됐을 뿐이다. 이번 보물 예고도 동아대가 지난해 뒤늦게 소장본의 지정신청을 하면서 이뤄진 것이다. 역사학계에선 연구자가 다른 시대보다 훨씬 적고 <고려사>의 가치에 대한 전공자들의 관심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고려사 권위자인 노명호 서울대 명예교수는 “고려 시대를 조선시대의 틀 속에 함께 묶어 보는 잘못된 관행이 뿌리 깊었고, 일반인이 고려사의 실체를 접할 기회도 부족해 <고려사> 판본 자체에 무관심했다”며 “보물지정을 계기로 통합 영인 해설본을 펴내고, 훼손이 심각한 일부 판본의 보존처리 작업도 본격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문화재청은 30일간의 예고기간에 각계 의견을 들은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지정 여부를 확정한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 문화재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