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왕씨 부산파

고려 국화넝쿨 나전칠기

아지빠 2020. 7. 3. 09:23

세계 단 3점 ‘고려 나전칠기’ 귀환…국화넝쿨, 정교함의 극치

(이미지-01)

지난해 12월 일본에서 국내로 환수된 고려시대의 나전국화넝쿨무늬합. 당대 세계 최고 수준의 공예품으로 평가받는다.

지난해 12월 일본에서 국내로 환수된 고려시대의 나전국화넝쿨무늬합. 당대 세계 최고 수준의 공예품으로 평가받는다.

14년 만의 귀환이다. 검게 옻칠한 표면에 소담하게 국화와 넝쿨무늬를 짜서 넣은 800~900년 전 세계 최고 수준의 공예품이 눈앞에 나타났다. 12세기 고려국을 찾은 송나라 외교사절 서긍이 기행기 <고려도경>에서 매우 정교하고 귀하다는 뜻의 ‘세밀가귀’란 표현을 써 극찬했던 고려 특산 나전칠기 명품이 일본에서 돌아왔다. 2006년 9~10월 국립중앙박물관의 나전칠기 기획전 ‘천년을 이어온 빛’에 전시됐던 ‘나전국화넝쿨무늬합(‘나전합’)이 환수된 것이다.

(이미지-02)

나전합의 뚜껑과 속이 들여다보이는 본체를 포개놓은 모습.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2일 “나전합을 지난해 12월 일본 도쿄의 한 컬렉터에게 사들여 국내로 들여왔다”고 발표했다. 재단이 2013년 이래 환수한 740여건의 문화재 가운데 단연 뛰어난 국보급 희귀품이다.

이날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나전합 언론 공개 현장을 찾았다. 하나의 큰 합(모합) 속에 쏙 들어가는 솔가지 모양의 작은 합(자합 혹은 새끼합) 중 하나였다. 길이 10㎝ 남짓에 무게 50g밖에 안 되는 초미니 공예품이다. 그럼에도 작은 표면에 영롱하게 빛나는 전복패 조각과 온화한 색감의 대모(바다거북 등껍질), 구리·주석 등의 금속선을 이용한 치밀한 장식 등이 놀라운 조형미를 빚어냈다. 국화와 넝쿨무늬, 작은 원으로 채워진 테두리 연주문 장식이 휘몰아치듯 펼쳐지면서 고려 공예미술의 소우주를 이뤘다. 가장 도드라진 국화와 넝쿨무늬는 1㎜ 미만으로 절개된 나전과 대모 조각으로 촘촘히 붙여졌다. 테두리 연주문의 원들도 각기 톱니 모양으로 윤곽선을 세공해 감탄을 자아냈다.

이런 모양새를 온전히 간직한 고려 나전합은 현재 세계에 단 3점만이 전해진다.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박물관 소장품과 일본 교토의 대찰 묘신사의 게이슌인(桂春院) 소장품, 그리고 이번에 환수된 작품이다.

(이미지-03)

나전합의 뚜껑 윗부분만을 부각해 찍은 사진.

재단 쪽은 2018년 12월 매각 관련 정보를 현지 고미술업계 관계자를 통해 입수했지만, 일본 고미술계 특유의 폐쇄적인 구조 탓에 처음 여섯달 동안은 지인들을 통해 매입 의사를 전했고, 지난해 6월부터 직접 만나 교섭한 끝에 매입을 성사시켰다. 원래 3~4년 걸릴 것으로 예상했던 환수 교섭이 지난 연말 일단락된 데는 지난해 11월 취임한 최응천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과 소장자 사이의 인연이 작용했다. 최 이사장은 2006년 국립박물관 전시 당시 담당 기획자로서 도쿄국립박물관과 협업하며 나전합의 존재를 국내에 처음 알렸다. 일본 현지에서 소장자와 만났던 기억을 소중히 간직해왔는데, 소장자 또한 최 이사장과 다시 만나게 된 것을 반가워했다. 최 이사장은 지난해 12월 유물 매각에 합의하자 일본에 날아가 매매계약서를 직접 썼다.

나전합은 곧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져 올해 하반기 특별전 ‘고대의 빛깔, 옻칠’을 통해 일반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박물관 쪽에서 유물의 여러 요소를 추가 분석한다니 어떤 성과가 나올지도 궁금해진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 국외문화재환수재단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