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태풍의어원
5)태풍의 일반적특징
|
수온 27 ℃ 이상의 해면에서 태풍이 발생한다
중심 부근에 강한 비바람을 동반한다.
온대저기압은 일반적으로 전선(前線)을 동반하지만, 태풍은 전선을 동반하지 않는다.
중심 부근에 반경이 수km~수십km인 바람이 약한 구역이 있는데, 이 부분을 ‘태풍의 눈 '이라고 한다. 이 ‘태풍의 눈' 바깥 주변에서 바람이 가장 강하다.
일반적으로 발생 초기에는 서북서진(西北西進)하다가 점차 북상하여 편서풍(偏西風)을 타고 북동진(北東進)한다.
6)태풍의 강도분류
|
|
구 분
|
강 도
|
1950년 전세계 열소비량 |
100 |
태풍 |
1 |
크라카토아 화산 폭발 |
1/10 |
나가사키 원폭 |
1/10,000 |
벼 락 |
1/1,000,000,000 |
돌 풍 |
1/10,000,000,000,000 |
|
태풍은 일주일 이상 지속될 수 있으므로 동시에 같은 지역에 하나 이상의 태풍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때 발표되는 태풍 예보를 혼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태풍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태풍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한 것은 1953년부터이다.태풍에 처음으로 이름을 붙인 것은 호주의 예보관들이었다. 그 당시 호주 예보관들은 자신이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을 붙였는데, 예를 들어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이 앤더슨이라면 “현재 앤더슨이 태평양 해상에서 헤매고 있는 중입니다” 또는 “앤더슨이 엄청난 재난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라고 태풍 예보를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공군과 해군에서 공식적으로 태풍 이름을 붙이기 시작했는데 이때 예보관들은 자신의 아내나 애인의 이름을 사용했다. 이러한 전통에 따라 1978년까지는 태풍 이름이 여성이었다가 이후부터는 남자와 여자 이름을 번갈아 사용하였다. 북서태평양에서의 태풍 이름은 1999년까지 괌에 위치한 미국 태풍합동경보센터에서 정한 이름을 사용했다. 그러나 2000년부터는 아시아태풍위원회에서 아시아 각국 국민들의 태풍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태풍 경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태풍 이름을 서양식에서 아시아 지역 14개국의 고유한 이름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태풍 이름은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 조 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한다. 140개를 모두 사용하고나면 1번부터 다시 사용하기로 정했다. 태풍이 보통 연간 약 30여 개쯤 발생하므로 전체의 이름이 다 사용되려면 약 4∼5년이 소요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개미', ‘나리', ‘장미', ‘미리내', ‘노루', ‘제비', ‘너구리', ‘고니', ‘메기', ‘나비' 등의 태풍 이름을 제출했고, 북한에서도 ‘기러기' 등 10개의 이름을 제출했으므로 한글 이름의 태풍이 많아졌다. 2008년 개정된 태풍이름 2008. 1. 1. 현재
|
국가명 |
1조 |
2조 |
3조 |
4조 |
5조 |
캄보디아 |
담레이 |
Damrey |
콩레이 |
Kong-rey |
나크리 |
Nakri |
크로반 |
Krovanh |
사리카 |
Sarika |
중 국 |
하이쿠이 |
Haikui |
위투 |
Yutu |
펑선 |
Fengshen |
두쥐안 |
Dujuan |
하이마 |
Haima |
북 한 |
기러기 |
Kirogi |
도라지 |
Toraji |
갈매기 |
Kalmaegi |
무지개 |
Mujigae |
메아리 |
Meari |
홍콩 |
카이탁 |
Kai-tak |
마니 |
Man-yi |
풍웡 |
Fung-wong |
초이완 |
Choi-wan |
망온 |
Ma-on |
일 본 |
덴빈 |
Tembin |
우사기 |
Usagi |
간무리 |
Kammuri |
곳푸 |
Koppu |
도카게 |
Tokage |
라오스 |
볼라벤 |
Bolaven |
파북 |
Pabuk |
판폰 |
Phanfone |
켓사나 |
Ketsana |
녹텐 |
Nock-ten |
마카오 |
산바 |
Sanba |
우딥 |
Wutip |
봉퐁 |
Vongfong |
파마 |
Parma |
무이파 |
Muifa |
말레이시아 |
즐라왓 |
Jelawat |
스팟 |
Sepat |
누리 |
Nuri |
멜로르 |
Melor |
므르복 |
Merbok |
미크로네시아 |
에위니아 |
Ewiniar |
피토 |
Fitow |
실라코 |
Sinlaku |
네파탁 |
Nepartak |
난마돌 |
Nanmadol |
필리핀 |
말릭시 |
Maliksi |
다나스 |
Danas |
하구핏 |
Hagupit |
루핏 |
Lupit |
탈라스 |
Talas |
한 국 |
개미 |
Gaemi |
나리 |
Nari |
장미 |
Jangmi |
미리내 |
Mirinae |
노루 |
Noru |
태 국 |
쁘라삐룬 |
Prapiroon |
위파 |
Wipha |
메칼라 |
Mekkhala |
니다 |
Nida |
꿀랍 |
Kulap |
미 국 |
마리아 |
Maria |
프란시스코 |
Francisco |
히고스 |
Higos |
오마이스 |
Omais |
로키 |
Roke |
베트남 |
손띤 |
Son Tinh |
레끼마 |
Lekima |
바비 |
Bavi |
꼰선 |
Conson |
선까 |
Sonca |
캄보디아 |
보파 |
Bopha |
크로사 |
Krosa |
마이삭 |
Matsak |
찬투 |
Chanthu |
네삿 |
Nesat |
중 국 |
우쿵 |
Wukong |
하이옌 |
Haiyan |
하이선 |
Haishen |
뎬무 |
Dianmu |
하이탕 |
Haitang |
북 한 |
소나무 |
Sonamu |
버들 |
Podul |
노을 |
Noul |
민들레 |
Mindulle |
날개 |
Nalgae |
홍 콩 |
산산 |
Shanshan |
링링 |
Lingling |
돌핀 |
Dolphin |
라이언록 |
Lionrock |
바냔 |
Banyan |
일 본 |
야기 |
Yagi |
가지키 |
Kajiki |
구지라 |
Kujira |
곤파스 |
Kompasu |
와시 |
Washi |
라오스 |
리피 |
Leepi |
파사이 |
Faxai |
찬홈 |
Chan-hom |
남테운 |
Namtheun |
파카르 |
Pakhar |
마카오 |
버빙카 |
Bebinca |
페이파 |
Peipah |
린파 |
Linfa |
말로 |
Malou |
상우 |
Sanvu |
말레이시아 |
룸비아 |
Rumbia |
타파 |
Tapah |
낭카 |
Nangka |
므란티 |
Meranti |
마와르 |
Mawar |
미크로네시아 |
솔릭 |
Soulik |
미탁 |
Mitag |
사우델로르 |
Soudelor |
파나피 |
Fanapi |
구촐 |
Guchol |
필리핀 |
시마론 |
Cimaron |
하기비스 |
Hagibis |
몰라베 |
Molave |
말라카스 |
Malakas |
탈림 |
Talim |
한 국 |
제비 |
Jebi |
너구리 |
Neoguri |
고니 |
Goni |
메기 |
Megi |
독수리 |
Doksuri |
태 국 |
망쿳 |
Mangkhut |
람마순 |
Rammasun |
모라꼿 |
Morakot |
차바 |
Chaba |
카눈 |
Khanun |
미 국 |
우토르 |
Utor |
마트모 |
Matmo |
아타우 |
Etau |
에어리 |
Aere |
비센티 |
Vicente |
베트남 |
짜미 |
Trami |
할롱 |
Halong |
밤꼬 |
Vamco |
송다 |
Songda |
사올라 |
Saola |
|
10)태풍의 눈 태풍의 눈 부근의 구름벽이나, 나선 모양의 구름띠에서는 강한 소낙성 비가 내리고, 그 사이 사이에서는 층운형 구름에서 약한 비가 지속적으로 내린다. 강우의 분포도 대칭이 아니라 태풍 진행 방향의 오른쪽에서 더 많은 비가 내린다. 구름벽과 나선 모양의 구름띠는 시간에 따라 쉴 새 없이 변한다. 구름벽은 똑바로 서 있는 것도 있지만 높이에 따라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깔때기 모양을 한 것도 있다. 아래 그림은 태풍의 지상 기압, 비, 바람 그리고 태풍 중심 부근의 연직 속도와 구름벽, 나선 모양의 구름띠를 종합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폭풍 전야의 고요'라는 말이 있듯이 태풍이 접근하기 얼마 전에는 날씨가 맑고 조용하며, 바닷가에는 너울이 밀려온다. 태풍이 접근해 오면 기압은 하강하고, 점차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구름은 처음에 높은 구름인 권운, 권층운, 다음은 중층운인 고층운, 고적운, 그리고 거대한 적운 순으로 나타난다. 태풍이 통과할 때 내리는 총 강우량은 태풍의 이동 속도나 발달 상태, 그리고 통과하는 지형에 따라 달라진다. 많은 비를 동반하는 태풍은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수자원 공급에 큰 역할을 하기도 한다. 거대한 적운으로 이루어진 나선 모양의 구름띠가 강한 비를 뿌리며 통과하고 난 후에는 기압이 급강하하기 시작한다. 어두운 구름벽이 밀려오면서 비와 바람은 최대 강도에 도달한다. 강풍과 폭우가 급작스레 멎으면서 날씨가 갠다. 태풍의 눈 속으로 들어온 것이다. 태풍의 눈 속은 찌는 듯이 무덥고 숨막히게 답답한 느낌을 준다. 한 목격자의 설명에 의하면, 마치 높이 15㎞에 지름이 30∼50㎞인 원형 경기장 한가운데 서서 백색의 구름벽이 천천히 회전하는 것을 보고 있는 것 같았다고 한다. 반대쪽 구름벽을 뚫고 나가면 들어올 때 일어난 현상이 거꾸로 나타나며 태풍의 영향권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11)태풍의 중심위치찾는법
|
|
12)위험반원. 가항반원
13)태풍의 양면성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포함한 태풍은 엄청난 피해를 입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늘 해로운 것만은 아니다. 태풍은 중요한 수자원의 공급원으로 물부족 현상을 해소한다. 한 예로 1994년 여름은 유난히 덥고 길어 가뭄이 극심했었다. 그나마 더위를 식혀주고 가뭄을 어느 정도 해갈할 수 있도록 해준 것이 8월에 내습한 태풍 ‘더그(Doug)'로서 사람들은 이를 효자 태풍이라고 불렀다. 또한 태풍은 저위도 지방에서 축적된 대기중의 에너지를 고위도 지방으로 운반하여 지구상의 남북의 온도 균형을 유지시켜 주고, 해수를 뒤섞어 순환시킴으로써 플랑크톤을 용승 분해시켜 바다 생태계를 활성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대기의 난폭자인 태 풍은 동시에 유용한 면도 지니고 있는 매우 중요한 대기현상이라 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