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쌍떡잎식물.쥐손이풀목.운향과(상록활엽관목)
사철초피나무라고도 한다. 산허리나 골짜기에서 자란다. 높이 약 4m이다. 턱잎이 변한 납작한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잎은 3∼7개이며,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고 잔 톱니와 선점(腺點)이 있다. 잎 길이 3∼7cm, 나비 1∼2.5cm이다. 잎자루와 잎대에 날개가 있고 잎자루 길이 1∼3cm이다.
6월에 연한 노란색의 양성화가 피는데, 총상(總狀) 또는 복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로 잎겨드랑이에서 나며 꽃차례 길이는 3∼4cm이다. 심피는 붉은빛이며 길이 5mm 정도로서 선점이 있다. 열매는 둥근 삭과로서 8∼9월에 검게 익으며 종자는 둥근 달걀 모양이고 윤이 나는 검은빛이다. 정원수로 심는다. 한국(전남·경북·경남)·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
이명/지방명/한약명: 개산초 쌍떡잎식물.쥐손이풀목.운향과.상록활엽관목 국부마취작용.소장에서 장관의 연동작용.항균작용.온중산한.조습살충.마취지통.혈액순환촉진.위통.치통.사증복통.풍습통.관절풍습통.요통.사증에의한복창통.체한으로인한복통.충치통.타박상.완선.도상출혈.사충병.표면마취.지통.종독.급선유선염.피부가려움증.독사에물린상처.두통,감기.해수.기생충.구제.토사. |
왕초피나무와 기원을 같이 한다. |
잎은 호생하고 3-7개의 소엽으로 된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12cm, 너비 1-2.5cm로서 정소엽이 가장 크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기부에 융모가 있거나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투명한 선점과 더불어 잔 톱니가 있다. 엽병과 엽축에 넓은 날개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3cm이다. 엽병의 기부나 새가지의 기부 근처에 길이 1-2㎝나 되는 한쌍의 가시가 있다. |
화서는 총상 또는 복총상화서이고 액생하며 길이 3-4cm로서 연한 황색의 소화가 달리고 꽃은 암수딴그루로 6월에 개화한다. |
심피는 붉은 색이 돌며 길이 5mm정도로서 선점이 있고 열매는 공모양의 표면에 작은 돌기가 있는 삭과로 9-10월에 적갈색으로 익어서 주옥같은 종의를 뒤집어 쓴 흑색의 종자가 옆으로 튀어나온다. |
3)
개산초는 모양새가 특별히 아름다운 것도 아니고 별다른 쓰임새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나무이다. 10여년 전에 개산초를 보고 영 만날 수 없었으나 98년 여름 보길도 여행에서 드디어 개산초를 만나는 기쁨을 맛보게 되었다. 보길도의 일주 도로를 따라 막다른 곳에 다다르면 보옥리란 마을이 있고 앞에는 뾰죽산이라는 정말 뾰족한 산에서이다.
개산초는 남부해안 및 섬 지방에 자라는 상록활엽수 관목으로 높이 2∼3m정도이다. 줄기는 2∼3개가 올라가 나무모양을 만들고 잎자루와 1년생 가지의 기부에는 탁엽이 변한 길이 1∼2cm 정도인 한쌍의 편평한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우상복엽으로 소엽은 3∼7개이고 달걀모양 또는 피침형으로 양끝은 점첨두, 예저이며 가운데의 소엽은 가장 크고 가장자리에는 투명한 선점과 작은 톱니가 있다. 잎자루와 총엽병에 넓은 날개가 있다. 꽃은 암수 다른 나무이고 총상화서로서 잎 겨드랑이에 나며 5월에 연한 노랑빛의 작은 꽃이 핀다. 열매는 삭과로서 둥글고 표면에 작은 돌기가 있고 9∼10월에 적갈색으로 익어서 주옥같은 종의를 뒤집어 쓴 종자가 옆으로 튀어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