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6월야생화

지느러미엉겅퀴

아지빠 2007. 6. 9. 06:47

 

 

 

 

 

 

 

1)국화과

엉거시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가 70∼100cm이며 지느러미 모양의 좁은 날개가 있고 날개의 가장자리에 가시로 끝나는 톱니가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꽃이 필 때 말라 없어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5∼20cm이며 깃꼴로 깊게 또는 얕게 갈라지고 밑 부분이 잎자루가 없이 줄기의 날개로 이어지며, 잎 가장자리에 가시로 끝나는 톱니가 있고, 잎 뒷면에 거미줄 같은 흰색 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두상화(: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가 1개씩 달린다. 두상화는 지름이 15∼20mm이고, 총포는 종 모양이며, 총포의 조각은 7∼8줄로 배열하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끝이 가시 모양이고 바깥에 있는 조각일수록 짧다.  
 
화관은 길이가 15∼16mm이다. 열매는 수과이고 길이가 3mm이며, 관모는 흰색이고 길이가 15mm이다. 연한 줄기는 껍질을 벗겨서 생으로 먹을 수 있고, 어린잎을 먹는다.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비렴()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관절염·감기·간염·소변 출혈·요로감염증 등에 효과가 있고, 치질과 종기에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동북아시아와 유럽에 널리 분포한다.

 

 

2)

이명/지방명/한약명:
엉거시, 지느레미엉겅퀴

유사종:
흰지느러미엉겅퀴(var. albus Makino)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며 길이 30-40cm로서 가장자리에 가시가 있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중앙부의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밑부분이 줄기의 날개와 합쳐지고 길이 5-20cm로서 우상으로 깊게 또는 얕게 갈라지며 열편은 둔두로서 가시로 끝나고 뒷면에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있다.

높이가 70-100cm에 달하고 원줄기는 곧게서며 모서리가 있고 날개가 달리며 날개의 가장자리에 가시로 끝나는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17-27mm이고 총포종형이며 길이 20mm, 지름 17-27mm이고 포편은 7-8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점차 짧아지고 중편과 더불어 선상 피침형으로서 뾰족한 끝이 가시로 되어 퍼지거나 뒤로 젖혀진다. 화관은 자주색 또는 백색이며 길이 15-16mm이다.

수과는 길이 3mm, 지름 1.5mm이며 관모는 견사모양이고 밑이 합생하며 길이 15mm이다.

'야생화 > 6월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골무꽃  (0) 2007.06.11
마황  (0) 2007.06.11
가막살나무  (0) 2007.06.09
피나무  (0) 2007.06.08
흰범꼬리  (0) 2007.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