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6월야생화 1002

남천

남천 쌍떡잎식물.미나리아재비목.매자나무과 남천 혹은 남천죽 백일해 감기 기침 해수 천식 두통 구강염 식중독 기침을 멈추는 작용, 심혈관계통에 대한 작용, 평활근에 대한 작용, 중추 신경 계통을 가볍게 마취시키는 작용, 소아천효, 삼음학, 하감이 오래도록 화농하지 않는 증세(납촉감), 비소중독, 비소를 잘못먹고 빈사상태에 빠졌을 때, 팔각슬, 유화풍질(열풍관절염), 습열비, 좌골신경통, 타박상, 기폐훈궐, 회충, 눈이 빨갛고 충혈되어 아픈데, 머리가 약간 아프고 몸이 노곤한 감모한사, 돌림병, 풍화열종, 치루적통, 소아감병, 초기나력, 청열제습, 통경활락, 지해평천, 양치액, 목욕제, 습진, 가려움증, 감모발열, 폐열해수, 습열황달, 급성위장염, 해수효천, 통풍, 각기, 편도선염, 구강염, 인두염, 눈의 ..

사철나무

사철나무 쌍떡잎식물.노박덩굴목.노박덩굴과. 상록관목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은 많은 상록수가 있지만 유별나게 이 나무만 사철 내내 푸르다는 의미로 사철나무가 되었다 껍질을 화두충(和杜冲)이라 하여 주로 이뇨, 강장제로 쓰이며, 관절염, 신경통, 요통, 치열, 통경, 혈액순환에도 쓰인다. 또한 잔가지와 뿌리는 소염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뿌리를 달여서 월경불순에 사용한다

굴거리나무

굴거리나무 쌍떡잎식물.쥐손이풀목.굴거리나무과.굴거리나무(이전 대극과에서독립) 옛사람들은 무언가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흔히 굿판을 벌린다. 이 나무는 ‘굿거리’를 할 때 잘 쓰여서 굴거리나무가 된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또 굴거리나무는 만병초의 잎과 비슷하여 예부터 약제로 쓰이던 나무다. 병이 들면 약도 먹고 굿도 하였을 것이니 굿거리에 쓰인 것으로 짐작된다. 소종발독.살충.종독.구충제.진통.이뇨.강정.거풍.허리와 등이 저리고아픈증세.관절통.요통.두통.발기력감퇴.불임증.월경불순 한국.중국.일본은 굴거리나무를 교양목(交讓木)이라고 한다

애기부들

애기부들 외떡잎식물.부들목.부들과.부들속의 여러해살이풀 수렴지혈작용.자궁흥분작용.이뇨작용.각혈.토혈.코피.소변출혈.자궁출혈.만성비 특이성결장염.습진.고지혈증.관상동맥경화증.산후자궁수축부진.어혈이 미진한 증상. 총코레스테롤 치수를 현저하게 내리므로 죽상동맥 경화증의 예방과 치료. 혈액순환개선으로 심복부의 동통. 산후의 어혈동통. 생리통등

갯기름나물(식방풍)

갯기름나물(식방풍) 쌍떡잎식물.산형화목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해열작용, 항염증작용, 진경작용, 면역기능 활성화작용, 항과민작용, 항궤양작용, 항균작용, 모든 풍증, 가래, 기침, 안면신경마비, 사지관절동통, 사지경련 및 굴신이 잘 안되는 증상, 신경계통질환, 관절질환, 경련발작, 파상풍, 머리를 뒤로 젖히면서 입과 치아를 벌리지 못하는 증상, 사지의 근육경련,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마비동통, 옴, 버짐, 사마귀제거, 두통, 전신마비, 해열, 신경통에 신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