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 49

예덕나무(암나무꽃)

예덕나무(암나무꽃)7/05쌍떡잎식물.이판화군. 쥐손이풀목. 대극과. 예덕나무속 낙엽 소교목암 수나무 딴그루건위작용.소화기능을 조절하는작용.소화촉진작용.담즙분비 촉진작용.진통작용.소염작용.소변중 칼슘의 배설을 돕는작용.방광내의실험성 결석을감소시키고 용적을 축소하는작용.청혈평간.수삽지혈.만성간염.비종대.백대하.화농성 중아염.도상출혈.위산과다.화위.위암.유문결찰성궤양에 예방효과.방광내의 실험성 결석을 감소시킴.배농.피부궤양.건위.위궤양.십이지장궤양.방광결석.종기. 치질.가려움증.위염

갯기름나물

갯기름나물(식방풍)7/04쌍떡잎식물.산형화목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해열작용, 항염증작용, 진경작용, 면역기능 활성화작용, 항과민작용, 항궤양작용, 항균작용, 모든 풍증, 가래, 기침, 안면신경마비, 사지관절동통, 사지경련 및 굴신이 잘 안되는 증상, 신경계통질환, 관절질환, 경련발작, 파상풍, 머리를 뒤로 젖히면서 입과 치아를 벌리지 못하는 증상, 사지의 근육경련,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마비동통, 옴, 버짐, 사마귀제거, 두통, 전신마비, 해열, 신경통에 신효

사철나무

사철나무 7/01쌍떡잎식물.노박덩굴목.노박덩굴과. 상록관목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은 많은 상록수가 있지만 유별나게 이 나무만 사철 내내 푸르다는 의미로 사철나무가 되었다껍질을 화두충(和杜冲)이라 하여 주로 이뇨, 강장제로 쓰이며, 관절염, 신경통, 요통, 치열, 통경, 혈액순환에도 쓰인다. 또한 잔가지와 뿌리는 소염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뿌리를 달여서 월경불순에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