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6월야생화

호밀풀. 페레니알 라이그라스(Perennial ryegrass)

아지빠 2010. 6. 9. 09:41

 

 

 

 

 

 

 

호밀풀. 페레니알 라이그라스(Perennial ryegrass)

식물계, 종자식물문, 외떡잎식물아강, 벼목, 화본과 (화본과의 2년초 또는 다년초)

유럽 원산이다. 무더기로 나와서 30∼60 cm 자라고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나비 2∼6 mm이고 어릴 때는 접힌다. 꽃은 5월에 피고 꽃이삭은 길이 13∼25 cm로서 작은이삭이 어긋나게 달린다. 작은이삭은 길이 15∼18 mm이고, 10∼16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밑에 달린 포영(苞穎)은 가시처럼 길게 자란다. 첫째포영은 끝에 달린 작은이삭 이외는 없으며 둘째포영은 길이 9.5 mm로 5맥이 있다. 호영에 5맥이 있고 수술은 3개

(참고자료) 

목초재배(초지농업)조사료용 외래식물 일부지역 골치거리

목초를 선택할 때는 재배하고자 하는 지역의 토양특성과 기후환경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양분 ·수량이 많으며, 가축이 즐겨 먹고, 재생력이 강하여 여러 번 베거나 가축에게 뜯기거나 밟히는데 잘 견디며, 재배하기 쉽고, 다른 목초와 혼파했을 때 경쟁력이 있으며, 채종도 잘 되는 것이 좋다. 목초 중에서 가장 종류가 많은 것은 벼과 목초로서 ①오처드그래스(오리새) ·②톨페스큐(적응온도넓다) 염색체(染色體)는 6배체 식물이다 ·③티모시 ·④라이그래스 ·⑤켄터키블루그래스(왕포아풀) ·⑥레드톱 ·⑦리드카나리그래스 등이 여기에 속한다. 벼과 목초는 단자엽식물로서 잎은 각 마디에 하나씩 달리며 잎몸[葉身]과 잎집[葉?]으로 구성되어 있고 잎맥은 평행맥을 이룬다. 이삭은 여러 개의 영화(穎花)가 모여서 작은 이삭[小穗]을 이루고 이들이 모여서 이삭을 형성한다. 땅표면 가까이에서 분열을 하는 것이 보통이나 땅속줄기에 의하여 퍼져 나가는 것도 있다

한지형 목초로서는 오처드그래스 ·티모시 ·클로버 등 대부분 온대 이북지방 원산인 초종들이 많으며, 추위에 견디는 힘은 비교적 강하지만 더위에는 약하다. 이와는 반대로 난지형 목초는 열대 또는 아열대 원산인 초종들로서, ⑧로스그래스 ·⑨바히아그래스 및 ⑩달리스그래스 등이 있으며 이들은 고온기간에 잘 자라고 추위에는 약하다. ②톨페스큐와 ⑪앨팰퍼는 적응하는 온도의 범위가 매우 넓은 중간형 목초이다. 자라는 모습이 직립형인 것에는⑫ 리드카나리그래스 및 ⑪앨팰퍼 등이 있고, 총상형인 것에는 ①오처드그래스 ·②톨페스큐 ·③티모시 ·⑬이탈리안라이그래스 및 ⑭레드클로버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상번초이다. 하번초에는 ⑮페레니얼라이그래스 ·?켄터키블루그래스 ·?버즈푸트레포일 ·?화이트클로버 등이 있다.

한국의 초지조성에 쓰이는 초종은 대개 다년생 목초이다. 1년생의 것은 밭이나 논에서의 단작 또는 윤작작물로 이용되며, 단년생 목초는 어느 목적으로도 이용된다. 목초를 이용하는 방법은 가축이 직접 풀밭에서 뜯어 먹도록 하거나 생초로 베어다 먹이기도 하며, 건초나 엔실리지(사일리지)를 만들어 두었다가 먹이기도 한다. 

주요 벼과 풀사료 자원

오차드그라스(Orchardgrass) - KGRI-07001

톨 페스큐(Tall fescue) - KGRI-07002

페레니알 라이그라스(Perennial ryegrass) - KGRI-0700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talian, Annual ryegrass) - KGRI-07004

켄터키 불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 - KGRI-07005

리드 카나리그라스(Reed canarygrass) - KGRI-07006

티모시(Timothy) - KGRI-07007

브롬그라스(Bromegrass) - KGRI-07008

레드톱(Redtop) - KGRI-07009

메도우 페스큐(Meadow fescue) - KGRI-07010

(크리핑)레드 페스큐[(Creeping) Red fescue] - KGRI-070011

휘트그라스(Wheatgrass) - KGRI-07012

위핑 러브그라스(Weeping lovegrass) - KGRI-07101

바히아그라스(Bahiagrass) - KGRI-07102

버뮤다그라스(Burmudagrass) - KGRI-07103

달리스그라스(Dallisgrass) - KGRI-07104

클레인그라스(Kleingrass) - KGRI-07105

로우드즈그라스(Rhodesgrass) - KGRI-07106

잔디(Korean lawngrass) - KGRI-07107

새(야고초, Arundinella hirta (Thunb.) Koidz) - KGRI-07108

존슨그라스(Johnsongrass) - KGRI-07401

개밀(Elymus tsukushiensis Honda) - KGRI-07402

바랭이(Crabgrass) - KGRI-07403

주요 콩과 풀사료 자원

알팔파(Alfalfa) - KGRI-07031

화이트 클로버(White clover) - KGRI-07032

레드 클로버(Red clover) - KGRI-07033

알사이크 클로버(Red clover) - KGRI-07034

버어드풋 트레포일(Birdsfoot trefoil) - KGRI-07035 벌노랑이

크림손 클로버(Crimson clover) - KGRI-07036

스위트 클로버(Sweet clover) - KGRI-07037

둥근매듭풀(Korean clover) - KGRI-07038

자운영(Chinese milkvetch) - KGRI-07039

싸리(Lespedeza 속) - KGRI-07040

베치류(Vetches, 갈퀴나물류) - KGRI-07041

칡(Kudzu vine) - KGRI-07043

루핀(Lupine) - KGRI-0704

'야생화 > 6월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굴피나무(Strobilacea)   (0) 2010.06.13
끈끈이대나물(Armeria)  (0) 2010.06.11
서양벌노랑이  (0) 2010.06.08
금계국  (0) 2010.06.03
가막살나무  (0) 201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