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9월야생화

결명자(긴강남차)

아지빠 2007. 9. 20. 07:26

 

 

 

 

 

1)쌍떡잎식물.장미목.콩과(여러해살이풀)

결명차()라고도 한다. 결명()이라는 명칭은 눈을 밝게 해준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이며 약용으로 재배한다.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짝수 1회 깃꼴 겹잎으로 2∼4쌍의 작은잎이 달린다. 작은잎은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이고 길이 3∼4cm이다. 노란색 꽃이 6∼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꽃받침은 5개이고 긴 달걀 모양이며 꽃잎은 5개로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의 원형이다. 수술은 10개로 길이가 일정하지 않고 씨방은 가늘며 길다. 꼬투리는 15cm 정도로 활처럼 굽고 녹색이다. 씨는 네모지고 1줄로 배열된다.

한방에서는 종자를 결명자()라고 하는데, 이뇨·변비 및 눈을 밝게 하는 데 효력이 있어 습관성 변비·고혈압·급성결막염·각막혼탁증세 등에 쓰이며, 볶아서 보리차처럼 차로 끓여 마시기도 한다.

 

2)

결명자란 눈을 밝게 해주는 씨앗이란 뜻이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와 맛이 있으며 약성은 달고 쓰고 짜며 약간 차다.[]

간화()를 내려 눈이 충혈되고 붓고 아프며 눈물이 흐르는 증상을 치료하고 야맹증에도 사용하며 열이 대장에 쌓여 생기는 변비에 효과가 있다. 또한 혈압을 내리고 동맥경화 예방에도 사용한다.

약리효과는 혈압 강하, 이뇨, 통변, 자궁수축작용과 피부진균 억제, 콜레스테롤 강하 등의 기능이 있다.

짧은 원기둥 모양이며 한 쪽 끝은 뾰족하고 다른 한 쪽 끝은 매끈하다. 양쪽의 옆에 황갈색의 넓은 세로줄 및 띠가 있고 질은 단단하다.

결명자는 양명(), 양각(), 마제결명(), 초결명(), 야녹두, 가녹두라고도 한다. 석결명(Cassia occidentalis :)은 결명자와 전혀 다른 식물로 초세가 약하고 수량성도 낮으며 줄기 끝 부위에서만 꽃이 피고 열매를 맺고 팥꼬투리 모양과 비슷하다.

 

 

이명/지방명/한약명:
결명초, 긴강남차, 결명자, 초결명

성분:
chrysophanol, emodin, aloe-emodin, rhein, physcion, obutusin 등


잎은 호생하고 우수 1회 우상복엽으로서 2-4쌍의 소엽이 달리며 첫째 소엽 사이에 선체가 있다. 소엽도란형이고 길이 3-4cm로서 둔한 끝이 약간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예저 또는 원저이고 탁엽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일찍 떨어진다.


높이가 1m에 달하고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선다.


꽃은 6-8월에 피며 황색이고 화경이 있으며 엽액에 1-2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긴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꽃잎도 5개로서 도란상 원형이고 밑부분에 짧은 화조(花爪)가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길이가 일정하지 않고 윗부분의 3개는 꽃밥이 불완전하며 자방은 가늘며 길고 잔털이 있으며 위쪽으로 굽는다.


열매는 협과로 길이 15cm로서 활처럼 굽고 녹색이며 네모진 종자가 1줄로 배열된다.



3)부산대약학과자료

결명자의 효능

 

① 淸肝明目 (청간명목) ; 간을 맑게 하고 눈을 밝게 한다.

- 바이러스로 인한 급성결막염 예방

- 노인의 각막혼탁 (일종의 만성진행성질환) 방지

- 시신경이나 망막위축에 의한 급속한 시력감퇴의 진행 방지

- 갱년기 이후에 몸집이 불고, 혈압은 높지 않으나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두 눈이 터질 것 같은 증상을 느낄 때

 

② 血壓降下 (혈압강하) ; 혈압을 내리게 한다.

- 혈압이 상승하여 일정치 않고, 강압제를 써도 장기간 효과가 지속되지 않는 경우에 간혹 심장혈관이나 뇌혈관에 병변이 생길 수 있는데 이때 관상동맥을 확장하여 강압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본능성 고혈압으로 장기간 혈압약을 복용해도 효과가 없을 때

- 뇌일혈로 인한 중풍으로 반신불수가 되어 혈압이 계속되고 변비가 있을 때는 알맞은 처방약을 쓰면서 달여 먹으면 혈압도 내리고 변비도 방지하는 효과

- 결명자의 강압작용은 완만하지만 안정적이므로 장에 문제만 없으면 장기간 지속해도 좋음.

 

③ 콜레스테롤 저하

- 고 콜레스테롤 혈증. 복용 중에 가벼운 설사가 나는 수가 있는데 방치하여도 무방.

- 관상동맥경화로 인한 협심증에 통맥진통의 작용.

- 콜레스테롤을 내리는 효과 , 협심증 예방

 

④ 변비치료

- 노인의 장조변비, 혈압이 높은 경우 복용, 혈압도 내리고 혈압이 높지 않는 사람은 예방, 특히 뇌졸중을 예방

- 고혈압은 아니나 진액부족으로 입이 마르며 변비로 복부가 팽만하고 수면불량일 경우

- 노소를 가리지 않는 상습변비에 효과

 

 

 

3. 결명자의 이용

 

① 결명자차

  먼저 타지 않도록 살짝 볶아야 한다. 만약 볶지 않으면 비린내도 나고 맛과 향도 떨어진다. 결명자차는 처음 마시는 사람에게 역한 냄새를 느끼게도 한다. 그러나 자주 마시면 이 냄새가 오히려 감칠맛으로 변한다. 마실 때 설탕이나 벌꿀은 넣지 않고 단방차로 마시는 것이 좋다. 그리고 차를 식혀서 냉장후 마셔도 좋으며, 많이 마셔도 부작용이 없다.

  또 다른 이용법으로 잎과 꽃을 채취하여 그늘에 말린 후 씨앗처럼 달여 마셔도 좋은데, 이 때는 설탕이나 벌꿀을 약간 가미하는 것이 좋다.

 시력증진에 좋은 배합차 만드는 방법은 물 600cc에 결명자 10g, 감국6g, 감초 3g을 넣어 이용한다. 이 차는 시력증진효과 뿐만 아니라, 혈압을 내리고 간장질환 치료에도 좋다.

<주의> 결명자차는 설사를 하는 증상이 있을 때에는 이용을 자제한다.

       

② 결명자주

  결명자를 깨끗이 씻은 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결명자와 소주를 용기에 넣은 후 3개월 정도 그늘진 곳에 보관한다. 술 색깔은 엷은 갈색이며, 맛은 쌉쌀하고 향기는 없다.

 

③ 기타

-결명자 날 것을 갈아서 하루에 세 번 식후 30분에 티스푼으로 반 스푼씩 약 먹듯이 물과 함께 먹는다. 선천성 비만이나 비만 체질인 사람에게 좋다. 결명자는 몸속의 노폐물을 배설시키기 때문에 변비가 있는 경우 특히 효과가 크다.

- 결명초 전초를 욕탕에 넣고 목욕을 하게 되면 혈액순환과 정신을 맑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 눈이 아프고 껄끄러울 때는 이마의 양쪽 가장자리에 붙여서 효과를 보기도 한다.

- 결명자로 베개를 만들어 써도 좋다. 결명자 베개는 머리를 맑게 하고 잠자리도 편하게 해주며 눈을 밝게 해준다.

 

'야생화 > 9월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름조개풀  (0) 2007.09.21
가는마디꽃  (0) 2007.09.20
논뚝외풀  (0) 2007.09.19
포인세티아(홍성목)  (0) 2007.09.16
연꽃  (0) 2007.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