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외떡잎식물.백합목.붓꽃과(여러해살이풀)사프란속
온난하고 비가 적은 곳에서 잘 자란다. 높이 약 15cm이다. 알뿌리는 지름 3cm로 납작한 공 모양이다. 잎은 알뿌리 끝에 모여나며 줄 모양이고 꽃이 진 다음 자란다. 끝이 점차 뾰족해진다. 꽃은 깔때기 모양이며 10∼11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새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1개가 달린다. 꽃줄기는 짧고 밑동이 잎집으로 싸인다. 화피와 수술은 6개씩이고 암술은 1개이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고 붉은빛이 돌며 암술머리는 육질이다.
유럽남부와 소아시아 원산이다. 원예상으로는 꽃이 봄에 피는 종과 가을에 피는 종으로 크게 나누는데, 봄에 피는 종을 크로커스, 가을에 피는 종을 사프란이라고 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암술대를 말려서 진정(鎭靜)·진경(鎭痙)·통경(通經)·지혈제로서 월경곤란·갱년기장애·유산벽(流産癖)·자궁출혈과 백일해 등에 약으로 쓴다. 10만 배로 희석하여도 노란색을 띠기 때문에 음식물의 빛깔을 내는 데도 사용한다.
사프란이라는 말은 아랍어의 아자프란(azafran) 또는 자파란(zafaran)에서 비롯하였으며 본래 사프란의 암술대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약이나 염료로 쓰기 시작한 것은 8세기부터로서 에스파냐를 정복한 무어인이 전하였고, 인도와 페르시아에서는 그보다 훨씬 전부터 재배하였다. 16세기 이후에는 요리와 약용으로 많이 사용하였고 머리염색제로도 썼다. 가을에 알뿌리를 심고 다음해 5∼6월에 파서 말렸다가 다시 심는데, 이어짓기하는 것은 좋지 않다.
2)부산대약학대자료
성상 외떡잎식물 백합목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약 15cm 이다. 알뿌리는 지름 3cm로 납작한 공 모양이다. 잎은 알뿌리 끝에 모여나며 줄 모양이고 꽃이 진 다음 자란다. 마늘 비슷한 비늘줄기가 있고 잎은 가늘고 길고, 끝이 점차 뾰족해진다. 꽃은 깔때기 모양이며 10∼11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새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1개가 달린다. 꽃줄기는 짧고 밑동이 잎집으로 싸인다. 화피와 수술은 6개씩이고 암술은 1개이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고 붉은빛이 돌며 암술머리는 육질이다.
원예상으로는 꽃이 봄에 피는 종과 가을에 피는 종으로 크게 나누는데, 봄에 피는 종을 크로커스, 가을에 피는 종을 사프란이라고 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 성분 주색소 성분은 치자와 같은 크로신이며 적색을 띤 황색을 염색할 수 있다.
◈ 응용 암술대를 말려서 진정(鎭靜)·진경(鎭痙)·통경(通經)·지혈제로서 월경곤란·갱년기장애·유산벽(流産癖)·자궁출혈과 백일해 등에 약으로 쓴다. 10만 배로 희석하여도 노란색을 띠기 때문에 음식물의 빛깔을 내는 데도 사용한다.
사프란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돼온 약재로 유럽에서는 천식발작을 진정시키는 민간약으로, 중국에서는 부인병과 타박상에 소염제로 사용됐다. 우리나라에서도 편두통, 현기증 우울증 등에 효과가 있는 약재로 사용한다. 사프란은 감기에도 효과가 있지만 통경 작용이 강하므로 임산부는 피하는 것이 좋다.
한방약 중장탕(中將湯)의 주재료가 바로 사프란으로, 편두통, 현기증, 우울증 등 여성 특유의 병에 매우 효과적이다. 사프란은 기분을 명랑 쾌활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가슴이 뛰고 현기증이 나는 것을 막아 주는 효과도 있다.
◈ 말의 기원 Saffron 의 어원은 아랍어의 Sahafaran 으로서 노란색이란 뜻이라 하며 사프란이라는 말은 아랍어의 아자프란(azafran) 또는 자파란(zafaran)에서 비롯하였으며 본래 사프란의 암술대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약이나 염료로 쓰기 시작한 것은 8세기부터로서 에스파냐를 정복한 아랍인이 전하였고, 인도와 페르시아에서는 그보다 훨씬 전부터 재배하였다. 16세기 이후에는 요리와 약용으로 많이 사용하였고 머리염색제로도 썼다. 종명의 Sativus는 재배한다는 뜻이다.
<본초강목>에는 번홍화(番紅花), 박부람(泊夫藍), 철법랑(撤法郞)으로, 당기(唐記)에는 울금향(鬱金香)으로 기재되어 있다.
◈ 샤프란 차 동의보감속 약이 되는 차
샤프란은 정신적인 불안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고, 여서 우울증에 효과가 있어서 부인병 차라고도 한다. 우선 재료로 샤프란 100g과 물 1컵을 준비 해야하는데, 샤프란을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보자
①10월 말에서 11월 상순에 피어난 꽃에서 핀셋으로 암술 3개를 뽑는다.
②그늘에서 잘 말린다.(바람에 날라가지 않도록 주의)
③방습제를 넣은 통에 보관한다.
이렇게 구한 샤프란을 차로 마시는 방법은...
①암술 8-10개를 찻잔에 넣는다.
②끓는 물을 찻잔에 붓고 잠시 후에 마신다.
주의할 점 통경(通經) 작용이 매우 강하므로 임신 중인 여성은 피해야 한다.
◈ 샤프란의 꽃말(환희)
눈이 녹으면서 피는 꽃. 꽃의 여신이 피우는 마지만 꽃.
1월생인 사람의 사랑은 이 꽃처럼 긴 시간을 견디며 천천히 무르익어 가는 것이 특징이다. 화려하고 격렬한 사랑으로는 기쁨을 얻기 어렵다.
여성의 경우 어울리는 남성은 애교가 있고 따뜻하게 느껴지는 타입. 미남자나 플레이보이와는 잘 안 된다. 사명감을 갖고 살고 있는 당신에게 기회는 반드시 온다. 성실함이야말로 당신의 매력포인트.
◈ 꽃의 전설
어느 가을철 저녁나절, 꽃의 여신 플로라가 호숫가 근처의 목장에서 혼자 깊은 명상에 잠겨 있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발 밑께에서 목초의 님프가 나타나 여신에게 무릎을 끓고 이렇게 애원하는 것입니다.
"여신님, 이제 얼마 안 있으면 모든 풀들이 시들어집니다. 가을화초와 헤어지기가 안타까워 매일같이 찾아와서는 작별을 아쉬워하는 작은 양들에게 부디 낮잠을 잘 수 있는 포근한 깔개를 마련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여신은 양들을 위해 애원하는 님프가 대견하고 또한 가엾게 생각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녀의 소원을 받아들여 가을의 마지막 꽃으로, 즉 다른 꽃들이 지고 난 뒤에도 피어날 수 있는 사프란을 무리져 피어나게 해주었습니다.
이 사프란은 그 뒤로 해마다 다른 꽃들이 시든 뒤에도 얼마동안을 더 피어 있게되었습니다.
◈ 내력
세계에서 가장 비싼 향신료가 사프란이다. 최근까지도 사프란의 무게는 금의 무게와 대등한 값으로 매겨졌다 하는데 그것은 한 개의 구근에서 2~3송이의 꽃이 피고 그 한 송이 꽃에 3갈래로 갈라진 1개의 빨간 암술이 있어 이것을 따서 말린 것이 "샤프란"이다.
샤프란은 마시면 실같이 가늘어지는데 1g의 샤프란을 얻으려면 500개의 암술을 말려야 하며 대개 160개의 구근에서 꽃이 핀 것을 따서 말린 무게라는 것이다.
더욱이 일일이 하나씩 손으로 따야 하므로 수고비가 가중되어서 금값처럼 비쌌던 것이다.
고가인 사프란은 황금색 염료로서 로얄칼라라 하여 고대 그리스나 로마시대에는 왕실의 영예와 고귀함의 상징으로 삼아 왕실의 의상을 염색하는데 쓰였으며 고상한 향기가 있어서 귀한 향료로도 존중했는데 유태인들도 귀히 여겼음이 성경의 아가서 4장 14절에 Karkom(번홍화)라 하여 기록하고 있다. 황금색 염료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새프란은 염료는 의류뿐 아니라 음식물의 착색제 및 향미료로 쓰며 과자, 술, 음료수 및 여러 가지 요리의 착색향미료로 쓰여서 유럽 음식문화에 없어서는 안 될 식물이다. 똥 화장품의 향료로도 쓰인다.
예부터 귀중한 약초이기도 했는데 이란에서 인도로 건너간 값비싼 교역품의 하나로 카레의 착색제였으며, 인도나 그리스에서는 최음제(최음제)로 썼으며 우울증의 치료제였다.
천연두의 약이었다고도 하며, 빈사상태의 환자라도 사프란차를 먹으면 죽음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했을 정도로 약효를 높이 평가했다.
사프란이 염료로 너무 값이 비싸자 대용품으로 "터메릭(Turmeric)","금잔화(marigold)","잇 꽃(safflower)"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향미는 사프란에 못 미친다.
사프란 염료가 값이 비싸자 지금은 "아니린"이 만들어져서 염료로서의 가치를 잃었으나, 여전히 약 미 향미식물로 식용 색소(착색제)로는 약해(약해)가 없는 무공해 색소로서 그 위치를 지키고 있다.
사프란은 주 생산국은 스페인과 포르투갈, 네덜란드 등이며 값이 비싸서 주로 고급요리의 향신료로 쓰이며 이방요리의 황색착색제는 터메릭이 주로 쓰이고 있다.
재미있는 것으로 사프란의 색으로부터 황달에 효과있는 약이 만들어진다고도 한다. 약간 쓴맛을 가진 풍미가 그 황금색과 함께 전통적인 요리에 결부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사프란 케이크와 사프란 빵은 특히 유명하며 고대 로마에서는 사프란으로 버터를 애호하였다. 프랑스에서는 물고기 조개 스프, 브이야베스, 스페인에서는 빠에라라고 하는 고기, 생선, 채소 등을 넣어 밥을 짓는데 절대 빠질 수 없었다. 여하튼 값비싼 것이므로 요리에는 미리 조리에 쓰일 우유나 브이온 등을 데운 뒤에 전조한 사프란을 잠시 곁들여 두면 좋다. 이렇게 하면 사프란의 향기, 색이 사전에 충분히 액채로 침출되므로 값비싼 소량의 사프란을 충분히 쓸 수 있는 현명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대용으로 사프라와, 매리골드(가난뱅이 사프란)의 �잎, 타메릭이 이용되는데, 완성된 요리의 풍미는 사프란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