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이 2.6m·무게 50kg" 거대 노래기 화석 발견
2021.12.21. 15:50
(이미지-01)
무게가 50kg에 달하는 거대 원시 노래기 화석이 발견됐다.
화석 형태로 발견된 노래기를 이미지화 한 사진. 보라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최근에 연구진들이 발견한 부분이며, 가장 왼쪽이 최근 영국에서 발견된 노래기 화석이다. (사진=사라 콜린스)
(이미지-02)
최근 호주에서 발견된 1306개의 다리를 가진 신종 노래기 (사진=사이언틱 리포트)© 제공: 지디넷코리아
(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실제 크기가 최대 2.6m, 무게가 약 50kg로 추정되는 거대 원시 노래기 화석이 발견됐다.
미국 IT매체 씨넷은 20일(현지시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연구진이 거대 노래기 화석을 발견, 연구 결과를 런던 지질학회지에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지구과학부 박사과정 닐 데이비스(Neil Davies) 박사가 이끄는 연구진은 영국 노섬벌랜드 호익 만에 있는 절벽에서 해변으로 떨어진 큰 사암에서 해당 노래기 화석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데이비스는 "화석이 너무 커서 네 명이 그것을 절벽 위로 운반해야 했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화석에서 발견된 약 74cm 길이의 거대 노래기 화석은 거대 노래기의 몸체의 일부가 화석으로 남아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노래기는 최대 길이가 2.6m, 무게가 약 50kg, 아르트로플레우라(Arthropleura)라는 약 3억 년 전에 번성한 거대 원시 노래기라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닐 데이비스는 "거대 노래기 화석을 발견하는 것은 드문 일이다. 노래기는 죽으면 몸이 분리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화석은 노래기가 자라면서 벗어 버린 허물일 가능성이 크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아직 화석화된 머리가 발견되지 않아 모든 것을 알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 거대 노래기는 고생대 후기인 석탄기, 지금으로부터 약 3억 7600만 년 전에 지구에서 생존했을 것이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 시기는 지구 상에 공룡이 존재하기 약 1억 년 전이다. 과학자들은 거대 노래기가 기후 변화나 파충류의 출현으로 먹잇감이 되어 사라졌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연구팀은 거대한 크기가 노래기의 식습관의 결과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들이 무엇을 먹었는지 확실히 알 수는 없지만, 당시 잎사귀에는 영양가 있는 견과류와 씨앗이 많이 있었고 노래기가 다른 무척추동물과 양서류와 같은 작은 척추동물을 잡아먹었을 수 있다"고 데이비스는 설명했다.
지난 주에는 호주 광산 깊숙한 곳에서 1306개의 다리를 가진 신종 노래기가 처음 발견돼 모두를 깜짝 놀라게 한 일도 있었다. 이는 기존 기록인 750개를 두 배 가까이 뛰어넘는 다리를 가진 노래기다.
이 노래기는 유밀리페스 페르세포네(Eumillipes persephone)이라는 새로운 종에 속하며, 330개의 마디와 거대한 더듬이가 있는 원뿔 모양의 머리, 먹이를 위한 부리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졌다.
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
다리가 무려 1306개…호주서 신종 노래기 발견
광물탐사 시추공 지하 60m 지점서 발견
분절마다 다리 두쌍, 노래기 일종…지네와는 달라
입력 : 2021-12-18 07:19/수정 : 2021-12-18 07:19
(이미지-3)
미국 버지니아공대 폴 마렉 박사팀 제공. 연합뉴스
다리가 1306개 달린 벌레가 호주에서 사상 처음으로 발견됐다. 이 벌레는 노래기(millipede)의 일종으로 깊은 땅속에 산다. 지금껏 발견된 다리가 가장 많은 생물보다 다리가 550개 이상 더 많다.
미국 버지니아공대 폴 마렉 박사 연구팀은 16일(현지시간)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호주 서부 이스턴 골드필즈 지방의 광산 지역 땅속에서 다리가 1306개인 생물을 발견해 ‘유밀리페스 페르세포네’(Eumillipes persephone)로 이름 붙였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광산지역 지하 환경평가조사를 하던 중 광물탐사 시추공의 지하 60m 지점에서 이 벌레를 발견했다.
(이미지-4)
미국 버지니아공대 폴 마렉 박사팀 제공. 연합뉴스
유밀리페스 페르세포네의 몸은 실처럼 긴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폭은 최대 0.95㎜, 길이는 95.7㎜다. 최대 330개의 분절로 이루어져 있다.
깊은 땅속에 사는 다른 생물들처럼 눈은 없고, 원뿔형 머리에 더듬이와 부리가 달려 있다.
몸에는 분절마다 두 쌍의 짧은 다리가 있어 모두 1306개에 이른다. 분절마다 다리 두 쌍이 달린 노래기류는 분절마다 한 쌍의 다리가 있는 지네류(centipede)와 다르다.
이전까지 발견된 노래기류에서 다리가 가장 많은 것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발견된 ‘일라크메 플레니페스’(Illacme plenipes)로 최대 750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이미지-5)
미국 버지니아공대 폴 마렉 박사팀 제공. 연합뉴스
연구팀은 유밀리페스 페르세포네와 일라크메 플레니페스가 먼 친척 관계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또 두 종 모두 서식지인 깊은 땅속에서 움직이는 힘을 만들어내기 위해 몸이 수많은 분절 형태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이 이스턴골드필즈 지역이 지닌 생물다양성을 잘 보여준다며 이 지역의 광업이 유밀리페스 페르세포네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하 생태계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
'그룹명 > 나의포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발사…금빛 거울로 최초의 별을 본다 (0) | 2021.12.26 |
---|---|
함정 최후의 방패, 근접방어무기(CIWS) 체계 (0) | 2021.12.26 |
자신의 목숨을 노렸던 政敵, 여왕은 그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줬다 (0) | 2021.12.21 |
궁궐 현판, 명필 임금도 쓸 수 없었던 이유…‘잘난체 말라’는 뜻 (0) | 2021.12.21 |
조선 호랑이가 멸종된 이유…‘일본 남아의 기개!’ 희생양이었다 (0) | 2021.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