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광주 야산서 조선왕실 태실 발굴…3기 나란히 조성된 최초 사례
최인진 기자입력 : 2021.11.04 10:52
(이미지-01)
경기 광주시 퇴촌면 원당리 일대에서 발굴된 조선왕실 태실 3기 |경기도 제공
경기 광주시 한 야산에서 조선 왕실의 ‘태실’이 발굴됐다. 왕실 자손이 태어나면 그 태아의 태반과 탯줄을 봉인하는 태실이 3기가 나란히 발굴됐는데 이는 전국 최초 사례다.
경기도와 경기문화재연구원은 광주시 퇴촌면 한 야산에서 조선 왕실의 태실 3기를 발굴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발굴된 태실은 오는 10일 광주시 퇴촌면 원당리 산30번지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현장 설명회를 통해 공개된다.
(이미지-02)
태함 |경기도 제공
왕실 아기의 출생 이후 길지를 선정해 태(胎)를 봉안하는 안태 문화는 일제강점기와 산업화를 거치며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아 다수가 사라졌다. 이에 경기도는 2019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사와 옛 문헌 등을 토대로 실태조사를 시행했고, 도내 30개소의 태실 소재 추정지를 확인해 태함(태를 보관하는 항아리)까지 존재할 가능성이 큰 원당리의 발굴 작업을 올 상반기부터 시작했다.
(이미지-03)
태함 하부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발굴초기 태봉(태실이 있는 산봉우리) 산비탈에 누워 있는 아기비(안태비) 2기를 근거로 태실 2기가 있을 것으로 추정한 것과 달리 태실 3기가 나란히 조성됐는데, 이는 전국 태실 소재지 320개소(미발굴지 포함) 중에 첫사례다. 태실 3기중 하나는 문헌 기록상 조선 성종(1457~1494)의 왕녀로 추정된다. 또한 아기비를 세웠던 자리도 2개소 확인해 산비탈에 쓰러진 비석을 세워 태실 원형을 복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경기도는 이번 발굴성과를 바탕으로 다른 태실 소재 추정지 발굴 작업도 이어갈 계획이다.
성종 아들의 탯줄? 조선왕실 출산기록 담긴 태봉·태실 65곳 확인
등록 :2021-12-19 14:16수정 :2021-12-19 14:35이정하 기자 사진
경기도, 조선왕실 태봉·태실 실태조사 결과 밝혀
경기도 내 조선왕실의 출산과 관련한 기록을 알 수 있는 태봉과 태실 65곳이 실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는 지난 3년간 도내 조선왕실의 태봉과 태실 실태조사한 결과를 담은 ‘경기도 태봉‧태실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태실은 왕실에서 자손을 출산한 뒤 길지를 선정해 태(태반과 탯줄)를 봉안하는 공간을 말한다. 태봉은 태를 봉인한 산봉우리다.
태를 봉안하는 안태 문화는 일제강점기와 산업화를 거치며 거의 사라진 데다, 관련 문헌마다 기록이 달라 실제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도는 경기문화재연구원과 문헌기록, 역사자료, 현장조사 등을 거쳐 이번에 처음으로 도내 19개 시·군에서 태봉 30곳과 태실 35곳을 확인했다. 도는 태봉‧태실 65곳에 대한 문헌 자료, 전문가 소장 자료, 조사원들이 직접 수집한 태봉‧태실 사진 등을 보고서에 수록했다.
(이미지-02)
가평군에서 발견된 중종 태실. 경기도 제공
또한 태실 보존을 위해 힘써 온 도민들의 노력과 관련 자료도 보고서에 담았다. 양평 대흥리 태실이 도굴당한 1972년 3월2일 당시 태지석(태의 주인공 이름과 출생일을 기록한 돌) 명문을 옮겨 적은 이희원(83‧양평 백안리)씨의 일기장은 대흥리 태실이 조선 성종의 왕자 부수의 태실임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이응수(67‧포천 양문리)씨는 훼손된 포천 영중면 성동리 익종 태실과 포천 영중면 금주리 태실의 실물 보존을 위해 노력했다.
도는 태실 유적에 대한 보존대책을 세워 안내판과 울타리를 설치하는 한편, 지난 11월 발굴한 광주 퇴촌면 원당리 태실처럼 지속적인 발굴 작업도 이어갈 계획이다. 이희완 도 문화유산과장은 “이번 조사보고서 발간은 3년간의 노력이 이뤄낸 성과물로, 그동안 태봉·태실을 지켜온 도민들의 숨은 노력도 발굴한 의미를 담고 있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
'그룹명 > 나의포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 금관은 왜 순금이 아니라 19~21K일까…발굴 100년 맞아 분석해보니 (0) | 2021.11.19 |
---|---|
4천년 전 타림미라의 정체는? (0) | 2021.11.05 |
인류, 3천년 전부터 ‘정보의 외장화’로 뇌 용량 줄였다 (0) | 2021.10.26 |
외계생물 닮은 바닷속 생명체, 부모는 ‘새우’ (0) | 2021.10.20 |
무령왕 부부 위로 황금 꽃비가 내렸습니다… (0) | 2021.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