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6월야생화

왜당귀

아지빠 2019. 6. 16. 08:30









왜당귀

쌍떡잎식물.이판화군.산형목.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 꽃은 6∼8월에 피고 흰색이며 복산형꽃차례를 이룬다. 소산경(小傘梗)은 30∼40개이며 작은 총포는 실처럼 가늘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편평하고 긴 타원형으로 뒷면에 가는 능선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유관(油管)은 능선 사이에 3∼4개, 합생면에 4개가 있다. 일본에서는 이것을 당귀(當歸)라고 하며, 진통·배농(排膿)·지혈·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복통·종기·타박상 및 부인병에 이용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같은 목적의 한약재로 재배한다.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심경, 간경, 비경에 작용한다. 혈을 생겨나게 하면서 잘 돌게 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며 통증을 멈춘다. 또한 대변을 통하게 하고 출혈을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진정작용, 진통작용, 강압작용, 억균작용, 약한 이뇨작용, 이담작용 등이 밝혀졌다. 혈허증, 월경부조, 무월경, 징가, 산후복통, 타박상, 옹종, 변비, 이질, 비증, 등에 쓴다. 자궁발육부전, 신경쇠약, 자궁출혈 등에도 쓸 수 있다. 하루 6~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환을지어 또는 가루내거나 술로 담가 먹거나 고를 만들어 먹는다.”

당귀는 근육 관절통 및 신경통, 만성기관지염, 만성분강염, 월경병, 고혈압, 대상포진, 비염의 치료에 좋은 반응을 얻었다는 임상보고가 밝혀졌다

왜당귀의 약효

강장작용.자궁수축작용.자궁흥분작용.진정작용.항균작용.항콜린작용.항천식작용.진경작용.진통작용.항염증작용.비특이성면역촉진작용.황산화작용.항방사능작용.간기능보호작용.억균작용.조경.지통(진통).윤조.월경불순.경행복통.붕루.대변조절.이질.배농.지혈.종기.타박상.거풍.화혈.보혈.구어혈.진정.관절통.신체허약.두통.복통.각종기관지천식.결혈성중풍.심장박동이상조절.뇌동맥경화.요퇴통.흉부외과 수술후의통증해소.간장질환치;료.급성신장염.상부소화기도의 출혈증상.자궁탈수.불면증.뇌동맥경화.유뇨증.하악관절의문란증상.혈전폐쇠성맥관염.대상성포진.우피선.습진.만성비염.돌발성이롱(소리를 잘듣지못하는증상)음경섬유성해면체염.견관절염.위십이지장궤양.만성간염.유뇨.변비.기타부인병치료


'야생화 > 6월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굴피나무  (0) 2019.06.17
바늘꽃(가우라)  (0) 2019.06.17
엉겅퀴  (0) 2019.06.16
바위취(호이초)  (0) 2019.06.15
천사의나팔  (0) 2019.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