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가리 2012-8-16
쌍떡잎식물.용담목. 박주가리과.박주가리속
잎은 마주나는 대생이고 심장형으로 길며 가장자리에 거치가 없다. 잎 끝은 뾰족하고 뒷면은 분록색이나며 잎자루의 길이는 2∼5cm이다. 땅속줄기가 길게 벋어나고 여기에서 자란 덩굴이 길이 3m 정도로 자란다.
꽃은 긴 꽃대에 꽃자루가 있는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붙어서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하여 끝까지 미치어 피는 꽃차례인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화관의 모양은 넓은 종처럼 생기고 5개로 깊게 갈라진다. 안쪽으로 털이 빽빽이 나있다. 꽃은 넓은 바소꼴이며 겉에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다.
종자는 납작한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듯한 모양이며 한쪽에 명주실 같은 털이 있다. 잎이나 가지를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오는데 이 흰 유액에 독성분이 들어 있으며 연한 순을 나물로 먹는다
정기 보하고 유즙 나오게하며 종기에 효험
▶ 지혈작용, 해독작용, 골결핵, 관절결핵, 각종 타박상, 거미 및 누에게 물린 상처, 독사에 물린데, 백반병, 소아감적, 나력, 백일해, 경풍, 마진의 발진이 잘 돋지 않을 때, 폐열, 해수다담, 폐풍담천, 호흡 곤란, 해수, 천식, 발열에 의한 기침, 신장염에 의한 수종, 토혈, 몸이 약한 데, 대하증, 옹종, 단독, 종기, 음위증(성교불능증, 임포텐츠), 외상출혈, 정기 보하고 새살을 돋아나게 하며 유즙을 나오게하는데 효험
박주가리의 다른 이름은 라마[蘿藦: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란[蘭: 시경(詩經); 이아(爾雅)], 작표[雀瓢: 육기(陸璣), 시소(詩疏)], 고환[苦丸: 도홍경(陶弘景)], 백환등[白環藤, 훈상:熏桑, 계장:鷄腸: 본초습유(本草拾遺)], 양각채[羊角菜, 양내과:羊奶科, 세사등:細絲藤, 과로황:過路黃, 합발아:合鉢兒, 파파침찰아:婆婆針扎兒: 구황본초(救荒本草)], 파파침대아[婆婆針袋兒: 수진방(袖珍方)], 양파내[羊婆奶, 파파침선포:婆婆針線包: 본초강목(本草綱目)], 내장등[奶漿藤, 내장초:奶漿草: 민간상용중초약회편(民間常用草藥滙編)], 구진등(九眞藤), 교등(交藤) 등으로 부른다.
박주가리의 열매의 다른이름은 라마자[蘿藦子: 당본초(唐本草)], 작합자[斫合子: 본초습유(本草拾遺)] 등으로 부른다.
박주가리의 열매껍질의 다른 이름은 천장각[天漿殼: 현대실용중약(現代實用中藥)], 천장각[天將殼: 음편신참(飮片新參)], 나마협[蘿藦莢: 약재학(藥材學)] 등으로 부른다.
[채취]
보통 7~8월에 전초를 채취하여 신선한 것을 쓰거나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열매의 채취: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열매껍질의 채취: 가을에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열매의 껍데기를 벗겨 햇볕에 말린다. 열매 꼭지, 종자, 털을 제거하고 사용한다.
[성분]
뿌리에는 ester형 glycosde를 함유하고 있는데, 그 genin이 pregnane계인 benzoylramanone, metaplexigenin, isoramanone, sarcostin, gagaminin, dibenzoylgagaimol, deacylmetaplexigenin, deacylcynanchogenin, pergularin, utendin 등이다. 줄기, 잎에도 pregnane glycoside가 들어 있고 이것을 가수 분해하면 d-cymarose, digitoxose, sarcostin, metaplexigenin, benzoylramanone, pergularin, utendin 등이 생성된다. 그 유백색의 즙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prootease)가 들어 있다.
열매에는 혼합 glycosde 0.3%가 들어 있다. 그중 당으로는 d-cymarose, d-sarmentose, 1-oleandrose 등 여러 가지 deoxysugar가 들어 있다. 또 glycoside는 ester형 pregnane 화합물로서 가수 분해하면 ramanone, deacy-lcynanchogenin, metaplexigenin, sarcostin, acetic acid, cinnamic acid 등이 생성된다.
[성미]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1, <본초품회정요>: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2, <본초강목>: "맛은 달고 약간 맵다."
3, <사천중약지>: "성질은 평하다. 맛은 싱거우며 독이 없다."
열매의 성미: 1, <당본초>: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2, <본초강목>: "맛은 달고 약간 맵다."
열매의 껍질 성미: 1, <음편신참>: "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
[약효와 주치]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며 젖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허손노상(虛損勞傷), 성교불능증(임포텐츠), 대하증, 젖이 나오지 않는 증상, 단독창종(丹毒瘡腫)을 치료한다.
1, <도홍경>: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며 음도(陰道)를 강성하게 한다."
2, <본초습유>: "거미, 누에게게 물린 상처를 주치하고 주로 즙을 짜서 창(瘡)에 바르고 그 즙으로 란사(爛絲)하게 하고 삶아 먹으면 보익(補益)한다. 목열적(目熱赤)을 치료하려면 잎을 비벼 짠 즙을 눈에 떨구어 넣는다."
3, <본초강목>: "즙을 단독적종(丹毒赤腫) 및 뱀이나 벌레에 물린 독에 바른다. 거미에 물린 상처가 어떤 치료를 하여도 낫지 않을 때에 짓찧어 3회 바르면 사독(絲毒)을 터뜨리고 화농하게 한다."
4, <강소식약지>: "물로 달여서 복용하면 온독(溫毒)을 치료하고 해열한다."
5, <사천중약지>: "보혈행기(補血行氣)하게 한다. 허손상(虛損傷)을 치료하고 젖의 분비를 촉진한다."
6, <중경초약>: "신체 허약으로 인하여 생긴 백대하를 치료한다."
열매의 약효와 주치: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고 새살이 돋아나게 하며 출혈을 멎게 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허로(虛勞), 성교 불능증(임포텐츠), 칼에 찔리거나 베인 상처로 인한 출혈을 치료한다.
1, <도홍경>: "보익정기(補益精氣)하고 음도(陰道=질:膣)를 강하게 한다."
2, <당본초>: "허로(虛勞)를 치료한다."
3, <본초습유>: "칼에 찔리거나 베인 상처를 치료하며 새살이 돋아나게 하고 지혈한다. 짓찧어 창(瘡)에 바른다."
4, <본초추진>: "노인의 원양허약(元陽虛弱), 성교 불능증과 유정에 적용된다."
열매 껍질의 약효과 주치: 폐열(肺熱)을 없애고 담(痰)을 삭이는 효능이 있다. 해수다담(咳嗽多痰), 폐풍담천(肺風痰喘), 백일해, 경풍(驚風), 마진(麻疹)의 발진이 잘 돋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1, <음편신참>: "단단한 덩어리를 연하게 하고 담(痰)을 삭이며 폐열(肺熱)을 제거한다. 폐풍담천(肺風痰喘)을 치료하고 경풍을 가라앉힌다."
2, <약재자료휘편>: "어린이의 마진을 치료한다."
3, <강서, 초약수책>: "폐풍담천(肺風痰喘), 손상에 의한 출혈을 치료한다."
4, <상해상용중초약>: "담을 삭이고 해수를 멎게 하며 천식을 진정시킨다. 해수, 다담(多痰), 호흡 곤란, 백일해, 마진의 발진이 잘 되지 않는 증상, 발열(發熱)에 의한 기침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시 박주가리 전초 19~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에는 짓찧어 바른다.
열매의 용법과 용량: 내복: 하루 11~2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바른다.
열매껍질의 용법과 용량: 내복: 하루 7.5~1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박주가리에 관해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나마(蘿藦)
기원: 나마(蘿藦科=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식물인 나마(蘿藦=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의 전초와 뿌리이다.
형태: 다년생 덩굴성 초본으로 길이는 2m이상에 달한다. 줄기는 덩굴이고 즙액(汁液)이 있으며 전체에는 유모(柔毛)가 있다. 단엽(單葉)은 마주나며 난상(卵狀) 심장형(心臟形)이다. 총상(總狀) 취산화서(聚傘花序)는 액생(腋生)하며, 꽃은 여러개가 정단(頂端)에 밀생하며,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고 열편(裂片)은 좁은 피침형(披針形)이며, 화관(花冠)은 녹백색(綠白色)이고 담색문(淡色紋)이 있으며 5갈래로 갈라지고, 부화관(副花冠)은 5갈래로 깊이 갈라진다. 열매는 골돌로 방추형(紡錘形)이다. 종자(種子)는 난원형(卵圓形)으로 편평하고 가장자리는 막질(膜質)이며 정단(頂端)에는 백색(白色)의 견모(絹毛)가 나 있다.
분포: 산비탈과 길가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 화북(華北), 화동(華東), 중남(中南) 등 지역에 분포한다.
성분: 함임희류대(含妊烯類甙), 산형대(酸型甙).
기미: 전초: 맛은 달고 약간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뿌리: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전초: 보신강장(補腎强壯), 행기활혈(行氣活血), 소종해독(消腫解毒). 뿌리: 익정보기(益精補氣).
주치: 전초: 신허양위(腎虛陽痿), 유정(遺精), 유즙부족(乳汁不足). 외용: 단독정창(丹毒疔瘡), 충사교상(蟲蛇咬傷). 뿌리: 신허양위(腎虛陽痿), 탈력노상(脫力勞傷), 부인백대(婦人白帶), 유즙부족(乳汁不足), 소아감적(小兒疳積). 외용: 창(瘡), 독사교상(毒蛇咬傷).
용량: 전초 또는 뿌리 하루 15∼2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4116면; 회편(滙編) 상권 748면; 장백산식물약지(長白山植物藥誌) 927면.
부주(附註): 본품(本品)의 과실(果實)과 과각(果殼)도 약용으로 사용한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박주가리의 전초 및 종자와 관련해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라마(蘿藦) //박주가리, 환란(芄蘭), 작표(雀瓢)// [본초]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풀인 박주가리[Metaplexis japonica (Thumb.) Makino 또는 M. stauntonii Room. et Schult.]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기슭과 들판에서 널리 자란다. 여름에 전초를 베어 햇볕에서 말린다.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정기를 보하고 젖이 잘 나오게 하며 해독한다. 몸이 약한데, 음위증, 유즙불하, 대하, 옹종, 단독 등에 쓴다. 하루 15~60그램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신선한 것을 짓찧어서 붙인다.
라마자(蘿藦子) //박주가리씨, 환란자(芄蘭子), 작표자(雀瓢子)// [본초]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풀인 박주가리[Metaplexis japonica (Thumb.) Makino]의 여문씨를 말린 것이다. 박주가리는 각지의 산기슭고 들판에서 널리 자란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 다음 씨를 모은다.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정기(精氣)를 보하고 출혈을 멈추며 새살이 잘 살아나게 하고 해독한다. 몸이 약한 데, 음위증, 외상출혈 등에 쓴다. 하루 9~18g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인다.]
박주가리의 뿌리 줄기 및 열매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토혈허손(吐血虛損)
박주가리, 지골피(地骨皮), 백자인(柏子仁), 오미자(五味子) 각 111g을 가루내어 빈속에 미음으로 복용한다. [불거집(不居集), 라산(蘿散)]
2, 성교불능증
박주가리 뿌리, 음양곽 뿌리, 선모근(仙茅根: 석산과 식물 선모의 뿌리줄기=Curculigo Orchioides Gaertn.) 각 11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1제를 복용한다. [강서초약(江西草藥)]
3, 신장염에 의한 수종
박주가리 뿌리 37.5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1제를 복용한다 [서주(徐州), 단방험방신의료법선편(單放驗方新醫療法選編)]
4, 로상(癆傷)
박주가리 뿌리를 닭고기와 함께 푹 끓여 복용한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5, 나력[瘰癧=결핵성 경부 림프선염=연주창(連珠瘡)=king's evil=목 부위의 결핵병]
박주가리 뿌리 26~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는데 단 술을 인경약(引經藥)으로 하여 하루에 1제를 복용한다. [강서초약(江西草藥)]
6, 젖을 잘 나오게 하는 방법
박주가리 11~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37.5~75g을 고기와 함께 푹 삶아 복용하여도 좋다. [민간상용중초약회편(民間常用草藥滙編)]
7, 소아감적(小兒疳積)
박주가리의 줄기와 잎 적당량을 가루내어, 1회에 3.75~7.5g을 흰설탕과 함께 복용한다. [강서초약(江西草藥)]
8, 단화독(丹火毒)으로 온몸이 빨갛게 붓고 참기 어려운 때
박주가리 전초를 짓찧은 즙을 바르거나 짓찧어 바른다. [매사집험방(梅師集驗方)]
9, 각종 타박상으로 피부가 터져 출혈하면서 참기 어려운 통증이 있을 때
박주가리를 갈아 물에 개어서 복용하고 찌꺼기는 상처에 덮어 씌운다. [수진방(袖珍方)]
10, 산무애뱀(오보사:五步蛇, 백화사:白花蛇)에게 물린 상처 치료
박주가리 뿌리 11g, 용담초 뿌리 7.5g, 이풍근(耳風根) 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는데 흰설탕을 인경약(引經藥)으로 하여 복용한다. [강서초약(江西草藥)]
11, 백반병(白斑病)
박주가리풀을 삶아서 문지른다. [광제방(廣濟方)]
12, 골결핵, 관절결핵(임상보고)
박주가리의 말린 뿌리 37.5~56g에 물 1000ml를 가하여 약한 불에 6~8시간 달여서 300ml되게 농축시킨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술 적당량으로 한 번에 먹는다. 찌꺼기는 상술한 방법으로 다시 달여서 1회 복용한다. 3개월을 1치료 기간으로 하고 2~3치료 기간 동안 연속 복용한다. 15례를 임상 치료하였는데 그중 요추결핵 6례, 흉추결핵 2례, 경추결핵 1례, 관(髖)관절결핵 5례, 저가(骶髂)관절결핵 1례였다. 치료과정에서 국부처리를 한 외에는 다른 항결핵 약물은 쓰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약을 써서 1주일 후부터 시작하여 누관(瘻管)으로 고름 및 치즈와 같은 괴사조직이 많이 배출되고 그후부터 고름이 점점 희박해지고 식욕이 증진되고 체중이 증가되었다. 치료결과 12례는 누관이 유합되었고 X선 재검사에서 병소가 안정되었고 증상과 징후가 소실되었으며 현저한 효과가 1례, 호전이 2례였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13, 허손(虛損)을 보익(補益)하는 방법
박주가리열매 150g, 오미자, 산조인, 백자인(柏子仁), 구기자 뿌리 껍질, 건지황(乾地黃) 각 111g을 가루내어 1회에 약 1g을 술로 하루에 3회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박주가리는 여름철에 줄기를 꺽으면 흰 유즙이 나오는데, 그즙을 사마귀난데 상처를 내고 바르면 사마귀가 떨어진다. 덩굴을 걷어서 끎여 먹어보면 마치 호박이나 박넝쿨 냄새가 난다. 덜익은 열매를 시골서 아이들이 따먹기도 하는데 맛이 그런대로 먹을 만하다. 시골에서 배고플 때 어린아이들의 허기를 채워주기도 한다.
열매가 익으면 중간이 갈라져 씨를 퍼트린다. 씨가 모두 날라가기 전에 가을철에 오므린 열매 주머니를 따서 손으로 꺼내어 공중에 던지면 수백개의 씨들이 바람과 함께 날라가는 모습이 낙하산을 타고 수백명이 하늘을 날아가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한다. 종종 아이들은 장난삼아 바람불 때 날려보거나 바람이 없을 때는 입으로 불어서 행복감을 맛보기도 한다. 혹 가을에 이 씨 주머니를 만난다면 실험해 보기 바란다. 누구나 흥미있고 기쁨을 맛보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