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는장구채
쌍떡잎식물.중심자목.석죽과.흰장구채속한해살이풀
학명의 종소명은 서울산이란 뜻이며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어린순을 식용하며 민간에서 줄기와 꽃을 최유, 정혈 등에 약으로 쓴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길이 1.5~3cm, 폭 1~1.5cm로서 달걀 모양으로 양끝이 좁고 특히 잎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자루가 있다. 잎의 아랫부분은 줄기를 감싼다.
높이 50~60㎝정도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기는데, 땅에 닿은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윗부분은 곧추 서고 전체에 가늘고 굽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옆으로 기는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꽃은 7∼8월에 원뿔형 취산꽃차례로 줄기와 가지 끝에 피는데, 대체로 흰색이고 가끔 황백색으로 피기도 한다. 꽃자루는 가늘고 길며, 화관의 지름은 1.2cm내외이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종 모양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5개이고 길이 2mm정도로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는 3개이다
달음산 정상음달진 돌틈에서 자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