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식물문, 쌍떡잎식물아강, 감탕나무과.감탕나무속
이명/지방명/한약명: 묘아자나무, 남소욍이, 오렝이발콥 |
육각형의 잎 끝이 날카롭고 단단한 가시가 있어 마치 호랑이발톱과 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호랑가시라고 이름지었으며,나무가 자라면서 차츰 퇴화되어 하나의 가시만 남게 된다. |
잎은 호생하고 혁질이며 윤채가 있고 타원상 육각형이며 각점이 가시로 되고 길이 3.5~10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채가 있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엽병은 길이 5-8mm정도이다. |
높이 2-3m이고 밑부분에서 여러 줄기의 가지가 모여 자락 털이 없다. |
꽃은 자웅이주 또는 잡성화로 4~5월에 피고 지름 7mm정도로서 향기가 있으며 전년지에 액생하는 산형화서에 백색 꽃이 5-6개씩 달리고 화병은 길이 5-6mm로서 털이 없다. 암술은 암술대가 없으며 암술머리가 약간 높아져서 4개로 갈라지고 흑색으로 된다. |
핵과는 둥글며 지름 8-10mm로서 9-10월에 적색으로 익고 종자는 4개씩 들어 있으며 난형이고 세모가 지며 맥문이 있고 길이 6mm, 나비 4mm로서 황록색이며 종피가 두껍고 굳다. |
2)
호랑이의 가시나무란 뜻이다. 잎 끝에 날카롭고 단단한 가시를 가지고 있어서 마치 호랑이 발톱과도 비유되고, 또 잎에 달린 가시가 다른 나무의 가지에 붙은 가시보다 오히려 더 날카롭고 단단하여 호랑이가 등이 가려우면 이 나무의 잎에다 문질러 댄다는 의미에서 호랑가시나무가 되었다. 그러나 잎의 가시는 나무가 자라면서 차츰 퇴화되고 하나의 가시만 남는다.
남부 지방에 자라는 상록활엽수 소교목으로 나무높이 5m 정도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두껍다.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기가 있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잎 모양은 타원형의 육각형으로서 구석마다 가시가 날카롭게 발달한다. 꽃은 암수 딴 나무로 4∼5월에 흰빛으로 피고 지름 7mm내외이며 향기가 있고 잎 겨드랑이에 나는 산형화서에 5∼6개씩 달린다. 9∼10월에 지름 8∼10mm의 둥근 열매가 붉은빛으로 익어서 겨울 동안 나무에 달린 채로 월동한다. 호랑가시와 비슷하나 잎이 타원형이고 물결모양의 톱니 끝에 3각형의 날카로운 가시가 발달하는 서양호랑가시(Ilex aquifolium)가 있다.
3)약효
혈액순환촉진, 심장수축력 강화,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해열, 두통, 백반증, 폐결핵, 해수, 기력쇠약, 요통, 류마티스성 관절염, 요슬통, 타박상, 정력증진, 관절염, 이명증, 치통, 피임, 눈아픔, 구충약, 눈과 머리를 맑게하는 호랑가시나무
호랑가시나무(Ilex cornuta Lind)는 감탕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떨기나무이다. 감탕나무속은 전세계에 약 30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5종이 자생하고 있다. 노란호랑가시나무, 호랑가시나무(묘아자나무), 꽝꽝나무, 좀꽝꽝나무(꽝꽝나무), 감탕나무(떡가지나무, 끈제기나무), 대팻집나무(대패집나무, 물안포기나무), 청대팻집나무(민대팻집나무), 먼나무(좀감탕나무)가 자라고 있다.
키는 높이 3~4m 까지 자란다. 주로 남부지방 바닷가 및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갈라지지 않는다. 가지가 무성하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각이 진 부분은 가시가 되고 가죽질이다. 잎 양면에 털이 없으며 광택이 있고 뒷면은 황록색이다. 잎겨드랑이의 산형꽃차례에 자잘한 백록색 꽃이 5~6개씩 모여 피며 향기가 있다.
수술은 4개이고 꽃부리 열편의 기부에 붙어 있으며 꽃잎과 어긋나고 꽃밥에 세로로 갈라진 금이 있다. 암술은 1개이다. 핵과(核果)는 타원형 모양이며 산뜻한 다홍빛이며 종자는 4개가 들어 있다.
붉게 익은 열매가 달린 가지를 크리스마스 때 장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개화기는 4~5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호랑가시나무라는 뜻은 그 예사롭지 않은 제멋대로의 험상궂은 가시가 호랑이 처럼 무섭다는 뜻에서 '호랑가시나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전북 변산 지방에서는 '호랑등긁기나무'라고 부르며, 전남 완도 지방에서는 '호랑이발톱나무'라고 하며 제주도 지방에서는 '더러가시낭'이라고 부르는데 모두가 가시의 독특한 생김새 때문에 붙여진 이름들이다.
호랑가시나무에는 노란호랑가시나무와 호랑가시나무가 있으며 완도 호랑가시나무 양호랑가시나무가 있다.
호랑가시나무의 잎을 구골엽(枸骨葉), 뿌리를 구골근(枸骨根), 나무 껍질을 구골수피(枸骨樹皮), 열매를 구골자(枸骨子)라고 하며 모두 약용한다.
호랑가시나무의 다른 이름은 구골(枸骨: 당본초), 목밀(木蜜: 육기, 시소), 추목(樞木: 신농본초경소), 십대공로(十大功勞: 본경봉원), 구골목, 더러가시낭, 호랑가시나무, 호랑등긁기나무, 호랑이발톱나무라고도 한다.
호랑가시나무 잎의 다른 이름은 구골엽(枸骨葉: 본초습유), 묘아자(猫兒刺: 본초강목), 구골자(枸骨刺: 본초휘언), 팔각차(八角茶: 본초종신), 노서자(老鼠刺: 본초강목습유), 노호자(老虎刺: 강소식약지), 구청륵(狗靑竻: 강서중약), 산혈단(散血丹, 팔각자:八角刺: 광서중약지), 양각자(羊角刺: 호남약물지)등으로 부른다.
호랑가시나무 뿌리의 다른 이름은 구골근(枸骨根: 복건민간초약), 공노근(功勞根: 절강민간초약)등으로 부른다.
호랑가시나무 껍질의 다른 이름은 구골수피(枸骨樹皮: 본초습유)라고 부른다.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호랑가시나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호랑가시나무(Ilex cornuta Lind.)
식물: 사철푸른 작은 큰키나무이다. 잎은 긴 사각형 모양의 타원형인데 끝은 셋으로 갈라지고 바늘 모양이 가시로 되었다. 봄철에 풀색을 띤 흰색의 작은 꽃이 모여 핀다.
남부의 바닷가, 낮은 산에서 자란다.
잎(공로잎): 여름철에 잎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구충약, 열을 내리고 피를 통하게 하며 눈과 머리를 맑게 하는 약으로 머리아픔, 이아픔, 이명증, 눈아픔에 쓴다. 하루 2~5g을 쓴다.]
호랑가시나무에 대해서 안덕균씨가 지은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구골엽(枸骨葉)
감탕나무과의 늘푸른떨기나무 호랑가시나무(Ilex cornuta Lindl.), 노란호랑가시나무(Ilex aquifolimu Linne)의 잎이다. 종자를 구골자(枸骨子), 뿌리를 구골근(枸骨根)이라 한다.
성분: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구골엽: 보간신(補肝腎), 양기혈(養氣血), 거풍습(祛風濕). 구골자: 자음(滋陰), 익정(益精). 구골근: 보간신(補肝腎), 청풍열(淸風熱)
해설: 구골엽은 ① 폐결핵으로 인한 해수에 20g씩 물을 넣고 달여서 차로 마신다. ② 지나친 노동으로 인한 기력 손실에 유효하며, ③ 허리와 무릎의 연약 및 동통마비를 다스리고, 타박상에도 쓰인다.
구골자는 ① 음기(陰氣)가 허약해서 일어나는 발열 증상에 쓰고, ② 정력을 높인다.
구골근은 ① 노동을 많이 해서 일어나는 요통, ② 관절염, ③ 두통에 응용된다.
성분: 구골엽에는 caffeine, 사포닌, 탄닌, 고미질(苦味質) 등이 함유되어 있다. 구골자에는 지방유, 탄닌,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 ①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심장의 수축력을 높인다. ② 알코올 추출물은 피임에 유효하다.]
호랑가시나무 잎인 구골엽(枸骨葉)의 채취는 8~10월에 채취해서 가는 가지는 잘라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은 caffeine, 사포닌, 탄닌, 고미질을 함유하고 있다. 약리작용에서 적출한 guinea-pig의 심장에 구골의 주사액(ethyl alcohol, NaHSO3으로 처리한 수용액)을 관류시키면 관혈류량이 증가하고 심장의 수축력이 강화된다.
피임작용으로 구골의 물 및 알코올 침출액 또는 기타 연관된 제제를 mouse의 위에 주입하면 임신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그 피임률은 80~100%이다. 질(강:腔 )도포(塗布)표본법에 의하여 구골은 mouse의 정상적인 성주기에 변화를 가져다 준다는 것을 알았다. 그 주요한 변화로서 발정 정지기의 연장이 보이고 또 발정기의 초탈(超脫) 또는 단축이 보인다. 구골잎의 알코올 추출물(녹색이며 가루이고 glucoside의 반응이 있음)은 피임 작용이 있다. 조직의 절편에서는 자궁 및 난소의 병리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생리적 피임은 인정되었다.
<독성> 실험은 성인의 복용량 약 60배(1일 50g/kg)를 mouse의 위에 넣고 5일간 계속 관찰하였는데 독성은 보이지 않았다.
호랑가시나무 잎의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며 독이 없다. 간장과 신장을 보양하고 기혈(氣血)을 보충하며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폐결핵으로 인한 해수, 과로로 생긴 병에 의한 대량 출혈, 허리와 무릎이 연약한 증세, 류마티스성 관절염, 타박상을 치료한다.
하루 11~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가 먹거나 농축시켜서 엑스트랙트로 만들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은 즙이나 달여서 만든 고약을 바른다.
호랑가시나무 열매인 구골자(枸骨子)의 채취는 겨울에 성숙한 과실을 따서 열매 꼭지와 잡물을 없애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은 종자에는 fat 9.84%를 함유하고 있다. 이밖에 알칼로이드, 사포닌, 탄닌, 고미질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cardiac glycoside의 반응도 양성이다.
자음(滋陰), 익정(益精), 활락(活絡)하는 효능이 있다. 음(陰)의 부족으로 인하여 몸에 열이 나는 증상, 임탁(淋濁), 혈액순환촉진, 어혈, 자궁출혈과 대하증, 근골이 시큰시큰 쑤시고 아픈 증세를 치료한다. <남경민간약초>에서는 "근골이 시큰시큰 쑤시고 아픈 증세를 치료할 때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고 기록하며, <강소식약지>에서는 "음의 부족으로 속에 열이 날 때에 복용하며 자양해열약(滋養解熱藥)으로 쓴다. 여정자 즉 광나무 열매와 같은 효능이 있다"고 기록한다.
하루 6~11g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호랑가시나무 뿌리인 구골근(枸骨根)은 일년 내내 아무때나 채취할 수 있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간신을 자양하고 풍열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허리와 무릎이 연약한 증세, 뼈마디가 시큰시큰 쑤시고 아픈 증세, 신경성 두통, 눈이 벌겋게 충혈되는 증상, 치통을 치료한다.
하루 7~19g 신선한 것은 19~56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약을 쓸 때는 달인 물로 아픈 곳을 씻는다.
호랑가시나무의 껍질인 구골수피(枸骨樹皮)의 성분은 caffeine, 사포닌, 탄닌, 고미질, starch를 함유하고 있다. 맛은 약간 쓰고 달짝지근하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본초습유>에서 "술에 담가 먹으면 허리와 다리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하며, <본초종신>에서는 "음을 보양하고 간신을 북돋워주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한다.
하루 19~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호랑가시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폐결핵
호랑가시나무 여린 잎 37.5g을 불에 말려 끓는 물에 담갔다가 차대신 마신다. [호남약물지]
2, 요통 및 관절통
호랑가시나무 잎을 술에 담가 먹는다. [호남약물지]
3, 백반증
호랑가시나무 가지와 잎을 태운 재에 물울 뿌려 취한 즙을 백반병에 바른다. 또는 걸쭉하게 달여 발라도 좋다. [본초습유]
4, 간신을 보양하고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할 때
호랑가시나무의 가지와 잎을 붉은 설탕, 붉은대추 또는 검은 대추와 함께 달여서 먹으면 간신이 보양되고 허리와 무릎이 튼튼해진다. [중국약식지]
5, 일하다가 허리를 다쳤을 때
호랑가시나무 뿌리 37.5~56g, 오적건(烏賊乾) 2개에 술과 물 각 절반씩을 넣고 약한 불에 장시간 고아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
6, 관절염 및 관절통
호랑가시나무 뿌리 37.5~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초약]
7, 신경성 두통
호랑가시나무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초약]
8, 눈이 벌겋게 충혈될 때
호랑가시나무 뿌리 19g, 차전초(車前草) 18.5~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초약]
9, 치통
호랑가시나무 뿌리 19g을 물에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초약]
10, 유행성 이하선염
호랑가시나무 뿌리를 7번 찌고 7번 햇볕에 말려 1번에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
11, 정강이에 난 부스럼이 곪았을 때
호랑가시나무 뿌리 148g을 달인 물로 하루에 1~2번씩 아픈 곳을 씻는다. [복건민간초약]
12, 필라리아증(filariasis: 사상충(絲狀蟲:필라리아)의 감염, 기생으로 일어나는 질환, 사상충증(絲狀蟲症)이라고도 한다. 급성증세로는 발열과 함께 전신성의 경련을 일으키고, 어깨, 유방, 고환 등에 국한성 종창, 경련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수년에서 십수년의 경과를 거쳐 만성이 되면 음낭수종, 상피병(象皮病), 유미뇨(乳糜尿) 등이 나타난다. 감염자를 모기가 흡혈할 때 피 속의 자충(仔蟲:마이크로 필라리아)이 모기의 체내로 들어가, 그 속에서 발육하여 감염유충이 된 후, 그 모기가 흡혈할 때 인체 내에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킨다.)
① 신선한 호랑가시나무 뿌리75g(말린 것은 52g), 토우슬(土牛膝)의 산뜻하면서도 진한 붉은 빛깔의 줄기 18.5g에 황주(黃酒) 적당량(환자의 주량에 따라 가감한다)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중의잡지]
② 신선한 호랑가시나무 뿌리 한 웅큼(얇게 자른 것) 75g~113g, 모초근(茅草根) 한 움큼(약 37.5g)을 황주(黃酒)에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중의잡지]
③ 신선한 호랑가시나무 뿌리 75g, 빈랑(檳榔) 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중의잡지]
13, 백일해
호랑가시나무 뿌리 11~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
임경빈씨가 쓴 <나무백과> 제 2권에서는 호랑가시나무를 소개하면서 "유럽이나 미국 등에서는 호랑가시나무가 귀하게 대접받는 나무이며 크리스마스트리 장식외에 축복을 받는 나무 또는 축복을 주는 나무로 신성시하게 여기는 나무이다. 옛날 로마의 태양을 숭배하는 농신제(農神祭)에서는 호랑가시나무(Holly: 호올리)를 그들의 친구들에게 존경과 좋은 소망의 상징으로 선물을 하는 관습이 있었다."고 알려준다.
북아메리카 인디언들은 호랑가시나무로 만든 차가 홍역에 좋다고 믿었으며, 잎으로 만든 쥬스는 황달, 신경통에 효험이 있다고 전하며 중국에서는 껍질과 잎이 달린 가지로 즙을 내어 마시면 강장제로서 특히 콩팥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호랑가시나무의 잎의 표면은 아래의 사진에서 보듯이 지나칠 정도로 윤이 번쩍 번쩍거린다. 태양의 빛을 반사해가면서 잎에서는 엽록소 활동을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호랑가시나무의 용도가 탁월하고 건강증진에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볼 때 남부지방에 살고 있는 약사모 회원들은 집안에 텃밭이 있다면 호랑가시나무를 직접 심고 가꾸어 본다면 또다른 느낌과 행복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